[미국증시] '힘실린 바닥론'…추가상승 기대 커져
입력
수정
뉴욕 증시의 분위기가 괜찮다.
신용 위기가 최악을 지났다는 인식과 뉴욕증시가 바닥을 쳤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지난 두 달 연속 상승했다.물론 경기침체 조짐이 갈수록 확연해지고는 있다.
그러나 경기침체가 짧게 끝날 것이란 기대감이 퍼지면서 분위기는 상당히 우호적이다.
이번 주 뉴욕 증시는 과연 이런 분위기를 이어가 '낙관론 굳히기'에 나설 것인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현재로선 이번 주 전망도 괜찮다.
제임스 다이몬 JP모건체이스 회장을 비롯한 월가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이 '신용 위기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고 진단한 데 이어 헨리 폴슨 재무장관도 이 같은 시각에 동의했다.
지난 주말 열린 벅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도 "최악의 신용 위기는 지났다"고 밝히며 '뉴욕증시 바닥론'에 힘을 실었다.이 같은 바닥론 확산은 뉴욕증시의 추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건은 과연 경제지표가 이 같은 인식을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느냐의 여부다.
지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실망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경제지표로는 5일 발표될 4월 중 ISM(공급관리자협회) 서비스지표가 우선 꼽힌다.
월가에서는 4월 중 ISM 서비스업 지수는 전달의 49.6에서 49.3으로 하락해 위축세를 이어갔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점으로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늠한다.
오는 7일 발표될 3월 중 잠정주택판매 동향도 눈여겨 봐야 할 지표다.
현재 진행 중인 주택매매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이 지표는 주택경기의 흐름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전망이다.
이처럼 이번 주 경제지표 발표는 한산하다.
그런 만큼 하나하나의 경제지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어닝시즌은 사실상 파장이다.
이번 주에는 월트디즈니와 사라 리,몰슨 쿠어스 등이 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눈길을 끄는 것은 벤 버냉키 의장 등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간부들의 연설 내용이다.
지난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고 통화정책을 '중립'으로 전환한 FRB가 과연 현재 경기에 대해 어떤 진단을 하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아닐 수 없다.
버냉키 의장은 5일 오후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연례 만찬에서 '모기지 채무불이행과 주택압류'를 주제로 연설할 예정이다.
6일에는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총재가,7일에는 랜달 크로즈너 FRB 이사가 각각 대중 앞에 나선다.
또 8일에는 폴슨 재무장관이 캔자스시티 금융교육국제회의에서 연설한다.이날 앨런 그린스펀 전 FRB 의장도 뉴욕에서 열리는 모임에서 연설할 계획이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
신용 위기가 최악을 지났다는 인식과 뉴욕증시가 바닥을 쳤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지난 두 달 연속 상승했다.물론 경기침체 조짐이 갈수록 확연해지고는 있다.
그러나 경기침체가 짧게 끝날 것이란 기대감이 퍼지면서 분위기는 상당히 우호적이다.
이번 주 뉴욕 증시는 과연 이런 분위기를 이어가 '낙관론 굳히기'에 나설 것인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현재로선 이번 주 전망도 괜찮다.
제임스 다이몬 JP모건체이스 회장을 비롯한 월가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이 '신용 위기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고 진단한 데 이어 헨리 폴슨 재무장관도 이 같은 시각에 동의했다.
지난 주말 열린 벅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도 "최악의 신용 위기는 지났다"고 밝히며 '뉴욕증시 바닥론'에 힘을 실었다.이 같은 바닥론 확산은 뉴욕증시의 추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건은 과연 경제지표가 이 같은 인식을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느냐의 여부다.
지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실망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경제지표로는 5일 발표될 4월 중 ISM(공급관리자협회) 서비스지표가 우선 꼽힌다.
월가에서는 4월 중 ISM 서비스업 지수는 전달의 49.6에서 49.3으로 하락해 위축세를 이어갔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점으로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늠한다.
오는 7일 발표될 3월 중 잠정주택판매 동향도 눈여겨 봐야 할 지표다.
현재 진행 중인 주택매매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이 지표는 주택경기의 흐름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전망이다.
이처럼 이번 주 경제지표 발표는 한산하다.
그런 만큼 하나하나의 경제지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어닝시즌은 사실상 파장이다.
이번 주에는 월트디즈니와 사라 리,몰슨 쿠어스 등이 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눈길을 끄는 것은 벤 버냉키 의장 등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간부들의 연설 내용이다.
지난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고 통화정책을 '중립'으로 전환한 FRB가 과연 현재 경기에 대해 어떤 진단을 하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아닐 수 없다.
버냉키 의장은 5일 오후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연례 만찬에서 '모기지 채무불이행과 주택압류'를 주제로 연설할 예정이다.
6일에는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총재가,7일에는 랜달 크로즈너 FRB 이사가 각각 대중 앞에 나선다.
또 8일에는 폴슨 재무장관이 캔자스시티 금융교육국제회의에서 연설한다.이날 앨런 그린스펀 전 FRB 의장도 뉴욕에서 열리는 모임에서 연설할 계획이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