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성 두산 회장 "글로벌기업 되려면 원천기술 확보해야"
입력
수정
박용성 두산 회장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려면 원천기술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술개발을 독려하고 나섰다.
박 회장은 지난 3일 강원도 춘천 라데나 리조트에서 열린 '제1회 두산기술상' 시상식의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시상식에는 박용곤 명예회장과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했다.박 회장은 수상자들에게 "두산의 중기 목표는 2015년 매출 100조원,영업이익 10조원,해외 매출 비중 90% 이상"이라며 "이를 위해선 반드시 세계적인 독자 기술을 확보해야 하며 이번 두산기술상이 임직원들에게 기술개발을 위한 동기부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두산은 그 동안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고 그 결과 매출의 50% 이상을 해외에서 올리는 등 완벽한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뤄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분야, 일부 지역에서는 원천기술이 없어 서러움을 겪기도 하는데 글로벌 두산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 확보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두산기술상은 두산그룹이 기술개발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해 올해 처음 제정한 상으로 기술역량을 획기적으로 높인 임직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준다.
인센티브로는 기술대상에 3억원,기술혁신상에 1억원,특별상에 팀 1억원과 개인 3000만원 등 8억원 이상의 상금이 주어졌다.
대상은 두산인프라코어(042670) 엔진BG의 유로-4 배기규제 대응 엔진개발 프로젝트에 돌아갔다.지난해 말 출시된 이 엔진은 올해부터 발효되는 유로-4 배기규제를 충족하면서 연간 유류비를 최대 1000만원가량 절감할수 있는 차량용(트럭, 버스) 저공해 디젤엔진이다.
두산중공업(034020) 기술연구원의 USC 발전소용 소재 개발, 두산인프라코어 방산BG의 K21 보병전투 장갑차, 두산중공업 담수BG의 10MIGD MED 담수플랜트 기술개발 등 3개 프로젝트가 기술혁신상을 받았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
박 회장은 지난 3일 강원도 춘천 라데나 리조트에서 열린 '제1회 두산기술상' 시상식의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시상식에는 박용곤 명예회장과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했다.박 회장은 수상자들에게 "두산의 중기 목표는 2015년 매출 100조원,영업이익 10조원,해외 매출 비중 90% 이상"이라며 "이를 위해선 반드시 세계적인 독자 기술을 확보해야 하며 이번 두산기술상이 임직원들에게 기술개발을 위한 동기부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두산은 그 동안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고 그 결과 매출의 50% 이상을 해외에서 올리는 등 완벽한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뤄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분야, 일부 지역에서는 원천기술이 없어 서러움을 겪기도 하는데 글로벌 두산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 확보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두산기술상은 두산그룹이 기술개발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해 올해 처음 제정한 상으로 기술역량을 획기적으로 높인 임직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준다.
인센티브로는 기술대상에 3억원,기술혁신상에 1억원,특별상에 팀 1억원과 개인 3000만원 등 8억원 이상의 상금이 주어졌다.
대상은 두산인프라코어(042670) 엔진BG의 유로-4 배기규제 대응 엔진개발 프로젝트에 돌아갔다.지난해 말 출시된 이 엔진은 올해부터 발효되는 유로-4 배기규제를 충족하면서 연간 유류비를 최대 1000만원가량 절감할수 있는 차량용(트럭, 버스) 저공해 디젤엔진이다.
두산중공업(034020) 기술연구원의 USC 발전소용 소재 개발, 두산인프라코어 방산BG의 K21 보병전투 장갑차, 두산중공업 담수BG의 10MIGD MED 담수플랜트 기술개발 등 3개 프로젝트가 기술혁신상을 받았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