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중국펀드] 중국펀드 투자전략 … 작년말 가입자 환매 해볼만

올 들어 가슴 졸였던 중국펀드 투자자들은 최근 큰 시름을 덜었다.

중국과 홍콩 증시가 반등에 성공하면서 수익률이 호조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특히 중국과 홍콩 증시가 꼭지를 찍었던 지난해 10∼11월께 중국펀드에 거치식으로 가입했던 투자자들은 최근 손실률이 줄어들면서 한 고비를 넘긴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중장기 투자를 염두에 둔 중국펀드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에 개의치 말고 꾸준하게 투자할 것을 권했다.

다만 기대수익률은 과거보다 낮춰 잡는 것이 안전하다는 지적이다.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6일 현재 중국펀드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은 13.48%로 개별국가 펀드 중 가장 성적이 좋다.

일본(10.31%) 인도(9.70%) 브라질(8.09%) 등을 웃돌았다.

중국펀드의 1년 수익률은 34.71%,2년 수익률은 86.84%에 이른다.최근 1년 기준으로는 '미래에셋차이나솔로몬1A'(37.57%) '봉쥬르차이나주식1'(36.63%) '슈로더차이나그로스주식A'(34.07%) 등의 순으로 수익률이 좋다.

거치식으로 1년 이상 중국펀드에 묻어둔 투자자들은 그만큼 여유가 있는 셈이다.

중국과 홍콩 증시가 바닥을 다지고 상승전환하는 분위기에서 성급하게 환매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이용규 미래에셋증권 상품기획팀장은 "30%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는 1년 이상 거치식 투자자들은 환매 후 갈아타기 욕구를 느낄 수도 있지만 중국과 홍콩 증시는 이미 충분한 가격조정을 거쳤으므로 중장기적으로 보유하는 전략이 더 낫다"고 지적했다.

반면 중국펀드 열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10월께 가입한 투자자들은 상황이 조금 다르다.

장기 투자를 처음부터 염두에 둔 경우라면 상관없지만 무리하게 자금을 조달해 뒤늦게 뛰어든 투자자는 일부 환매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재경 삼성증권 펀드리서치파트장은 "중국펀드 비중이 과도한 투자자는 이제부터 중국과 홍콩증시가 오르면 비중 조절에 나서야 한다"며 고 조언했다.

박승훈 한국투자증권 펀드분석팀장은 "긴급한 자금의 경우 반등을 이용해 중국펀드 일부를 손절매할 수 있지만 환매 후 대체투자처를 분명히 염두에 둬야 한다"며 "원자재 글로벌금융주 등 일부 섹터펀드와 브라질펀드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박현철 메리츠증권 펀드애널리스트는 "적립식펀드는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정석"이라며 "지난해처럼 고수익을 노리기보다는 기대수익률을 한 단계 낮추는 것이 낫다"고 지적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