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업지역 아파트 허용' 논란 확산 … 뚝섬·구로 등에 '기름 붓는 격'
입력
수정
"여기에 공장을 헐고 아파트를 짓는다고요? 서울에서는 더 이상 옮길 데가 없는데 나가 앉으라는 얘기군요."
8일 준공업지역인 서울 성동구 성수1가에 있는 속옷 염색업체인 성산물산 공장의 장인성 사장은 한숨부터 쉬었다.준공업지역에 아파트 건설을 허용하는 도시계획 조례 개정안이 지난 7일 서울시의회 특별위원회를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나서다.
그는 "염색공장은 성수동 이외에 허용해주는 곳이 서울엔 없다"며 "경기도 안산이나 시화로 간다면 물류비 때문에 공장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며 낙담한 표정을 지었다.
◆갈 곳 없는 영세 제조업체조례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서울시내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공장부지 6.93㎢가 사라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영세공장 세입자가 쫓겨나고 46만명의 종업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고 밝혔다.
이들 영세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거래처를 인근에 두고 있어 외곽으로 공장부지를 옮기기가 어렵다.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철선을 만드는 대동압연공업의 이창길 사장은 "30년 넘게 이곳에서 인근 90개 업체에 납품하고 있는데 이런 기반을 빼앗길 수 없다"며 조례 개정안을 성토했다.
그는 "경기도 화성 발안쪽만 해도 공장부지가 3.3㎡당 150만원이 넘는다"며 "공장을 옮긴다면 토지매입에 공장건립까지 수십억원이 들 것"이라며 아예 말도 꺼내지 말라고 손사래를 쳤다.
◆투기장화,난개발 우려서울시는 준공업지역 내 공장부지뿐만 아니라 준공업지역 전체가 투기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준공업지역 내 듬성듬성 자리잡고 있는 공장부지가 개발의 걸림돌이었는데 공장부지를 합해 개발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동구 뚝섬 일대 준공업지역은 주거지역으로 전용될 것이란 기대감과 서울숲 일대 주거단지 개발로 최근 2년간 땅값이 급등했다.
작년 초 3.3㎡ 당 1500만~2000만원이었던 이 일대 땅값은 현재 2000만~25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대로변 공장용지 매물은 3000만원까지 부르고 있다.
땅값 급등은 투기세력이 가세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인근 A공인 관계자는 "작년부터 시행사들이 대규모로 땅을 사들이는 경우가 많았다"며 "장기적으로 주거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등포구 양평동의 플라스틱 사출업체인 코스메틱코리아의 박영혁 사장도 "결국 조례 개정안은 지주들에게만 좋은 일 시켜주는 꼴이 될 것"이라며 목청을 높였다.
서울시 이인근 도시계획 국장은 "대규모 공장부지를 개발할 때는 기반시설부담 공공기여 세입자 및 종사자 대책 등이 전제돼야 하는데 이런 대책이 없이 추진되면 불안한 부동산시장에 기름을 붓는 격"이라고 말했다.
◆특혜시비까지
개발이익은 대규모 공장부지를 보유한 소수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어 이들을 둘러싼 특혜시비도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서울시내에 있는 1만㎡ 이상 공장부지는 27개소,70만㎡다.
대한전선(금천구 시흥동 8만2500㎡) 대상(강서구 가양동 5만6500㎡) CJ(강서구 가양동 9만1700㎡) 동부제철(구로구 오류동 5만700㎡) 등 기업체가 주로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상의 공장부지는 2005년 2월 화이트코리아란 부동산개발회사에 매각됐다.
이곳은 준공업지역에서도 공동주택 건립이 불허되는 공업기능 우세지구여서 개발 청사진이 불투명했다.
하지만 GS건설이 870여가구의 아파트 건립을 추진해왔다.곳곳에서 인.허가 관련 특혜시비를 빚을 수 있다.
장규호/조성근/임도원 기자 danielc@hankyung.com
8일 준공업지역인 서울 성동구 성수1가에 있는 속옷 염색업체인 성산물산 공장의 장인성 사장은 한숨부터 쉬었다.준공업지역에 아파트 건설을 허용하는 도시계획 조례 개정안이 지난 7일 서울시의회 특별위원회를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나서다.
그는 "염색공장은 성수동 이외에 허용해주는 곳이 서울엔 없다"며 "경기도 안산이나 시화로 간다면 물류비 때문에 공장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며 낙담한 표정을 지었다.
◆갈 곳 없는 영세 제조업체조례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서울시내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공장부지 6.93㎢가 사라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영세공장 세입자가 쫓겨나고 46만명의 종업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고 밝혔다.
이들 영세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거래처를 인근에 두고 있어 외곽으로 공장부지를 옮기기가 어렵다.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철선을 만드는 대동압연공업의 이창길 사장은 "30년 넘게 이곳에서 인근 90개 업체에 납품하고 있는데 이런 기반을 빼앗길 수 없다"며 조례 개정안을 성토했다.
그는 "경기도 화성 발안쪽만 해도 공장부지가 3.3㎡당 150만원이 넘는다"며 "공장을 옮긴다면 토지매입에 공장건립까지 수십억원이 들 것"이라며 아예 말도 꺼내지 말라고 손사래를 쳤다.
◆투기장화,난개발 우려서울시는 준공업지역 내 공장부지뿐만 아니라 준공업지역 전체가 투기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준공업지역 내 듬성듬성 자리잡고 있는 공장부지가 개발의 걸림돌이었는데 공장부지를 합해 개발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동구 뚝섬 일대 준공업지역은 주거지역으로 전용될 것이란 기대감과 서울숲 일대 주거단지 개발로 최근 2년간 땅값이 급등했다.
작년 초 3.3㎡ 당 1500만~2000만원이었던 이 일대 땅값은 현재 2000만~25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대로변 공장용지 매물은 3000만원까지 부르고 있다.
땅값 급등은 투기세력이 가세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인근 A공인 관계자는 "작년부터 시행사들이 대규모로 땅을 사들이는 경우가 많았다"며 "장기적으로 주거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등포구 양평동의 플라스틱 사출업체인 코스메틱코리아의 박영혁 사장도 "결국 조례 개정안은 지주들에게만 좋은 일 시켜주는 꼴이 될 것"이라며 목청을 높였다.
서울시 이인근 도시계획 국장은 "대규모 공장부지를 개발할 때는 기반시설부담 공공기여 세입자 및 종사자 대책 등이 전제돼야 하는데 이런 대책이 없이 추진되면 불안한 부동산시장에 기름을 붓는 격"이라고 말했다.
◆특혜시비까지
개발이익은 대규모 공장부지를 보유한 소수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어 이들을 둘러싼 특혜시비도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서울시내에 있는 1만㎡ 이상 공장부지는 27개소,70만㎡다.
대한전선(금천구 시흥동 8만2500㎡) 대상(강서구 가양동 5만6500㎡) CJ(강서구 가양동 9만1700㎡) 동부제철(구로구 오류동 5만700㎡) 등 기업체가 주로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상의 공장부지는 2005년 2월 화이트코리아란 부동산개발회사에 매각됐다.
이곳은 준공업지역에서도 공동주택 건립이 불허되는 공업기능 우세지구여서 개발 청사진이 불투명했다.
하지만 GS건설이 870여가구의 아파트 건립을 추진해왔다.곳곳에서 인.허가 관련 특혜시비를 빚을 수 있다.
장규호/조성근/임도원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