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모기지 사태後 금융위기…증시 복병될까?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모기지 사태後 금융위기…증시 복병될까?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진정되는 상황에서 JP모건 다이와증권 등이 또 다른 형태의 금융위기 가능성을 잇달아 경고해 증시의 새로운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모기지 사태 이후 금융시장 구성원과 금융상품,금융산업,금융감독 분야에서 일게 될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화제가 되고 있는 JP모건의 보고서(how will crisis change markets)에서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기 때문에 금융 위기는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탐욕과 공포의 줄다리기에서 탐욕이 승리할 때 또 다른 버블이 형성되고,공포가 탐욕을 누를 때 시장은 위기를 맞는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다음 금융 위기는 반드시 온다는 것이다.

민스키 모델에서도 인간의 욕망이 도를 넘어 탐욕 수준으로 변질되면 투자자들의 심리가 급변하면서 '돈을 잃을 수 있다'는 심리가 확산돼 결국은 버블이 붕괴(boom&burst)되는 과정에서 금융 위기를 맞게 된다.

대표적으로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1997년 10월 아시아 외환위기,2007년 10월 서브프라임 모기지발 신용위기 등과 같은 10년 주기설을 들 수 있다.중요한 것은 현 시점에서 모기지사태 이후 금융 위기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JP모건은 지금까지 금융위기의 시장별 발생 패턴을 종합해 볼 때 다음 금융위기는 이머징 마켓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머징마켓에서 발생했던 마지막 위기는 1990년대 후반 러시아 모라토리엄(국가채무 불이행) 사태로 10여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이머징마켓은 공포의 기억이 잊혀져 가는 시장이기 때문이다.우리만 하더라도 외환위기를 언제 겪었는지 모르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실제로 단기적인 채무이행능력을 보는 단기 통화방어능력,중장기적인 위기방어능력에 해당하는 해외자금조달능력과 국내저축능력,자본유출 가능성을 보는 자본유입의 건전도,그리고 경제의 거품 여부를 알 수 있는 자산인플레 정도 등으로 파악하는 모리스 골드스타인의 위기판단지표로 볼 때 베트남과 터키 루마니아 등 동유럽 일부 국가,아이슬란드 등에서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게 나온다.

다행인 것은 이머징마켓의 붕괴는 당장 발생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아직까지 이머징마켓의 버블이 극에 달한 상황이 아니고 모기지 사태처럼 금융시장 붕괴 직전에 극에 달하는 시장모멘텀과 레버리지(차입비율)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자재 시장의 고공행진이 이머징마켓의 상황과 연결돼 있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머징마켓의 상품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의 대부분이 매수에 치중하는(long-only) 자금 또는 국내 예금이라는 점은 이머징마켓 상품시장의 과열 양상을 보여주는 증표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원유와 금, 곡물시장의 과열 정도가 높은 상태다.

올 들어 핫머니 이탈에 따라 금융위기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중국의 경우 외화가 부족해서 생기는 개도국형 금융위기 가능성은 낮게 나온다.

하지만 한 나라의 금융위기가 '외화유동성 위기→금융시스템 위기→실물경기 침체'의 수순을 거친다고 본다면 부실채권 과다에 따라 금융시스템에 균열이 생기는 선진국형 금융위기 가능성은 비교적 높게 나온다.따라서 우리 국민들이 최근 들어 부쩍 많이 투자하고 있는 프런티어 국가와 국제상품시장은 언제든지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만큼 이들 국가와 지역에 투자때 위험관리에 특별히 신경써야 모기지 사태처럼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닥치는 재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객원 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