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혁신센터] 창원대 지식기반기계산업 산학연공동사업단‥로봇산업 주도할 현장실무형 인력 양성
입력
수정
창원대학교 지식기반기계산업 산학연공동사업단(단장 송정일)은 2012년까지 영남권역에서 로봇 산업 육성을 주도할 현장 실무형 고급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2006년에 설립됐다.
사업단은 이를 위해 교육,R&D,산학협력,대학원특성화 등에 주력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정부의 2단계 BK(두뇌한국 21)사업 일환으로 특화된 지능형 홈 로봇개발 등을 지원하는 지역산업발전계획에 따라 필요한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지역 산업체와 연계한 산학 협력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지역 산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R&D 및 공용장비 활용에 협력하고 각종 인적,물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또 글로벌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해외연수,해외전문가 초청강연 및 미국 텍사스알링턴대를 비롯한 해외 9개 대학과의 공동연산학협력을 위한 교류 협정 등을 체결해 활발한 국제교류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사업단은 정부과제 연구에도 노력하고 있다.
창원,경남 지역의 특화된 연구과제 분야인 일반기계,메카트로닉스,로봇,정밀기계 및 조선 산업에 맞춰 2007년도에만 총 73건의 연구과제를 수주했다.
금액은 29억9000만원이다.사업단은 STX 엔진,두산중공업,볼보코리아,LG전자 등 30개 기업과 공동으로 전기연구원,기계연구원 등 2개 국가출연연구소가 참여하는 산학연공동사업단을 구성하기도 했다.
사업단 관계자는 "인턴십,현장실습,공동연구를 통한 실무형 대학원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며 "특히 STX조선과 매년 10명 내외의 산학장학생을 선발해 조선공학 강좌수강 및 현장실습을 시행하기로 MOU를 맺었다"고 말했다.
지역 산업체의 기술적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연구회를 개최하고 산업체와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며 특허 및 노하우를 산업체로 이전하는 등의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이러한 노력으로 사업단은 2007년에만 총 56건의 특허를 출원해,이 중 27건을 등록하는 등 목표대비 460% 이상의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특허 관련 기술이전 건수는 520%,사업화 실적은 416% 늘어나는 등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송 단장은 "첨단 기술연구에 필요한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