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225억원 날린 난지골프장
입력
수정
2004년 완공된 서울 마포구 상암동 난지골프장이 정식 개장 한 번 못하고 가족공원으로 바뀌게 됐다.
땅 소유주인 서울시와 시설소유주인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용도 변경을 두고 4년여간 줄다리기를 벌이다 결국 가족공원으로 귀착됐다.이 같은 용도변경 과정은 우리나라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고질적인 병폐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무엇보다 국민보다 윗사람 눈치만 살피는 게 그렇다.
서울시는 2000년 노을공원을 퍼블릭 골프장으로 조성키로 했다.그러나 골프장이 완공돼갈 무렵인 2004년 서울시의 입장이 갑자기 바뀌었다.
공원화 공약을 내걸었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당선되자마자 공약대로 공원 전환을 선언해버렸다.
그러면서 소수가 이용하는 골프장보다는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낫다는 논리를 내세웠다.공무원들은 신임 시장의 방침에 부합하는 논리 개발에만 열중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도 마찬가지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까지만 해도 골프장 유지 입장을 고수했다.고등법원 소송까지도 이겨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지난해 말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을 전후해 갑자기 방향을 선회했다.
대통령 눈치보기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 말을 믿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국민 혈세 낭비에 무감각한 것도 문제다.
서울시가 이번 용도변경으로 지출해야 하는 돈은 무려 225억원에 달한다.
골프장을 조성하고 유지한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보상해야 하는 돈이 185억원,추가로 가족공원으로 변경하는 데 드는 비용이 40억원이다.
이 돈은 물론 국민들이 내는 혈세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이런 상황에 대해서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금싸라기 같은 시민의 휴식공간을 몇 년씩 사용하지 못하게 해놓고도,혈세를 대거 낭비해 놓고도 누구하나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없다.
거꾸로 시민들이 그동안 무료로 골프장을 이용했으니 땅을 그냥 놀린 것은 아니라는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고 있다.해볼 거 다 해보고 돈 쓰고 싶은 대로 다 써보고 하는 행정이라면 누군들 못하겠는가.
조성근 사회부 기자 truth@hankyung.com
땅 소유주인 서울시와 시설소유주인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용도 변경을 두고 4년여간 줄다리기를 벌이다 결국 가족공원으로 귀착됐다.이 같은 용도변경 과정은 우리나라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고질적인 병폐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무엇보다 국민보다 윗사람 눈치만 살피는 게 그렇다.
서울시는 2000년 노을공원을 퍼블릭 골프장으로 조성키로 했다.그러나 골프장이 완공돼갈 무렵인 2004년 서울시의 입장이 갑자기 바뀌었다.
공원화 공약을 내걸었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당선되자마자 공약대로 공원 전환을 선언해버렸다.
그러면서 소수가 이용하는 골프장보다는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낫다는 논리를 내세웠다.공무원들은 신임 시장의 방침에 부합하는 논리 개발에만 열중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도 마찬가지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까지만 해도 골프장 유지 입장을 고수했다.고등법원 소송까지도 이겨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지난해 말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을 전후해 갑자기 방향을 선회했다.
대통령 눈치보기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 말을 믿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국민 혈세 낭비에 무감각한 것도 문제다.
서울시가 이번 용도변경으로 지출해야 하는 돈은 무려 225억원에 달한다.
골프장을 조성하고 유지한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보상해야 하는 돈이 185억원,추가로 가족공원으로 변경하는 데 드는 비용이 40억원이다.
이 돈은 물론 국민들이 내는 혈세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이런 상황에 대해서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금싸라기 같은 시민의 휴식공간을 몇 년씩 사용하지 못하게 해놓고도,혈세를 대거 낭비해 놓고도 누구하나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없다.
거꾸로 시민들이 그동안 무료로 골프장을 이용했으니 땅을 그냥 놀린 것은 아니라는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고 있다.해볼 거 다 해보고 돈 쓰고 싶은 대로 다 써보고 하는 행정이라면 누군들 못하겠는가.
조성근 사회부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