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휴대폰 보조금 비용 나눠서 처리 가능"
입력
수정
금융감독원은 3일 이동통신사가 고객에게 지급하는 휴대폰 보조금을 원칙적으로 당기 비용으로 처리하되 의무약정 기간에 나눠서 처리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휴대폰 보조금을 일시에 비용으로 처리했던 이통사들은 18~24개월인 의무약정 기간에 나눠서 처리할 수 있게 돼 단기적으로 실적 개선 효과를 낼 수 있게 됐다.그러나 실제 수익이 늘어난 것이 아니어서 실적 착시 현상도 우려된다.
금감원은 이날 KTF 등 이통사들의 기간약정 단말기 보조금에 대한 회계 처리 질의에 대해 의무약정제가 일정한 의무약정 기간이 있고,중도 해지시 위약금을 부과하도록 돼 있어 어느 정도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자산으로 잡아두고 의무약정기간에 나눠서 비용처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KTF는 2분기부터 금감원이 제시한 회계기준을 적용할 예정이어서 장부상 수지 개선 효과를 내게 됐다.2분기 마케팅 비용(보조금)이 1600억원가량 줄어들어 이익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
이에 따라 휴대폰 보조금을 일시에 비용으로 처리했던 이통사들은 18~24개월인 의무약정 기간에 나눠서 처리할 수 있게 돼 단기적으로 실적 개선 효과를 낼 수 있게 됐다.그러나 실제 수익이 늘어난 것이 아니어서 실적 착시 현상도 우려된다.
금감원은 이날 KTF 등 이통사들의 기간약정 단말기 보조금에 대한 회계 처리 질의에 대해 의무약정제가 일정한 의무약정 기간이 있고,중도 해지시 위약금을 부과하도록 돼 있어 어느 정도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자산으로 잡아두고 의무약정기간에 나눠서 비용처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KTF는 2분기부터 금감원이 제시한 회계기준을 적용할 예정이어서 장부상 수지 개선 효과를 내게 됐다.2분기 마케팅 비용(보조금)이 1600억원가량 줄어들어 이익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