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미쓰비시 로켓공장 한국언론 공개
입력
수정
일본의 중공업도시 나고야 남부 해안에 있는 미쓰비시중공업 오에 공장.나고야역에서 버스로 40여분 만에 도착한 2층 건물 높이의 회색 벽돌 공장은 옛날 창고풍이다. 이 공장은 90년 가까운 일본 전투기 역사의 산실이다. 1920년 완공돼 일본 해군의 함상전투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 말기 가미카제 특공대의 자살공격에 쓰였던 '제로센(零戰)'도 여기서 나왔다.
하지만 지금 이곳에선 로켓이 제조되고 있다. 인공위성 등을 우주로 쏘아올리는 로켓 부품을 주로 생산한다. 지난해 9월 일본 첫 달탐사 위성 '가구야' 발사를 성공시켜 일본을 우주강국 대열로 밀어올린 일본 로켓산업의 심장부다. 미쓰비시중공업이 이곳을 지난 11일 한국경제신문 등 한국 언론에 일부 공개했다.
공장 안으로 들어가자 로켓 동체표면을 처리하는 작업장은 유리벽으로 차단돼 있다. 유리벽 저편엔 흰색 방진복을 입은 작업자 5~6명이 직경 4m의 로켓 동체원통을 거대한 기계로 가공 중이다. 공장의 겉모습과 영 딴판인 첨단 우주기술의 현장이다.
미쓰비시는 오에 공장과 인근의 도비시마ㆍ고마카미나미 공장,복합재 주익센터 등 4개 공장을 묶어 1989년 항공우주시스템 제작소로 체제를 정비했다. 규슈 가고시마에는 발사센터도 구축했다. 로켓 부품에서 조립,발사에 이르는 일관 생산ㆍ서비스 체제를 갖춘 것이다. 그 첫 작품이 '가구야'를 쏘아올린 로켓 'H2A 13호기'였다.
미쓰비시는 해외시장 공략도 추진 중이다. 연간 제조 가능한 로켓 3기 중 정부 수요 2기를 뺀 나머지 1기는 외국에 판다는 구상이다. 첫 타깃은 한국이다. 한국 정부가 2010년께 발사할 예정인 인공위성 '아리랑 3호'를 우주에 띄울 로켓 제작ㆍ발사 수주전에 뛰어들었다. 러시아의 드네프르가 경쟁사다. 일본은 이 사업을 따내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모리 요시로 전 총리는 올 2월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미쓰비시의 수주'를 요청했다. 일본은 1968년부터 로켓 발사를 시작했지만 네 번이나 실패한 끝에 1970년에야 성공했다. 2003년엔 'H2A' 로켓 발사에도 실패했다. 그러나 일본은 포기하지 않았다. 미쓰비시 공장 방문에 동행한 김경민 한양대 교수(군사정치학)는 "일본은 일관된 정책으로 우주 원자력 등 거대 과학에 꾸준히 투자해왔다"며 "세계가 우주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지금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고야=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
하지만 지금 이곳에선 로켓이 제조되고 있다. 인공위성 등을 우주로 쏘아올리는 로켓 부품을 주로 생산한다. 지난해 9월 일본 첫 달탐사 위성 '가구야' 발사를 성공시켜 일본을 우주강국 대열로 밀어올린 일본 로켓산업의 심장부다. 미쓰비시중공업이 이곳을 지난 11일 한국경제신문 등 한국 언론에 일부 공개했다.
공장 안으로 들어가자 로켓 동체표면을 처리하는 작업장은 유리벽으로 차단돼 있다. 유리벽 저편엔 흰색 방진복을 입은 작업자 5~6명이 직경 4m의 로켓 동체원통을 거대한 기계로 가공 중이다. 공장의 겉모습과 영 딴판인 첨단 우주기술의 현장이다.
미쓰비시는 오에 공장과 인근의 도비시마ㆍ고마카미나미 공장,복합재 주익센터 등 4개 공장을 묶어 1989년 항공우주시스템 제작소로 체제를 정비했다. 규슈 가고시마에는 발사센터도 구축했다. 로켓 부품에서 조립,발사에 이르는 일관 생산ㆍ서비스 체제를 갖춘 것이다. 그 첫 작품이 '가구야'를 쏘아올린 로켓 'H2A 13호기'였다.
미쓰비시는 해외시장 공략도 추진 중이다. 연간 제조 가능한 로켓 3기 중 정부 수요 2기를 뺀 나머지 1기는 외국에 판다는 구상이다. 첫 타깃은 한국이다. 한국 정부가 2010년께 발사할 예정인 인공위성 '아리랑 3호'를 우주에 띄울 로켓 제작ㆍ발사 수주전에 뛰어들었다. 러시아의 드네프르가 경쟁사다. 일본은 이 사업을 따내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모리 요시로 전 총리는 올 2월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미쓰비시의 수주'를 요청했다. 일본은 1968년부터 로켓 발사를 시작했지만 네 번이나 실패한 끝에 1970년에야 성공했다. 2003년엔 'H2A' 로켓 발사에도 실패했다. 그러나 일본은 포기하지 않았다. 미쓰비시 공장 방문에 동행한 김경민 한양대 교수(군사정치학)는 "일본은 일관된 정책으로 우주 원자력 등 거대 과학에 꾸준히 투자해왔다"며 "세계가 우주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지금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고야=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