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이코노미가 뜬다] (ECO)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 친환경 '탄소중립도시' 들어선다

도시개발 사업에도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태양열이나 지열,풍력 등을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고 녹지나 습지를 최대한 조성,'탄소 제로 도시'를 조성하는 게 붐을 이루고 있다. 친환경 도시는 세계 곳곳에서 건설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의 수도 아부다비에 건설 중인 '마스다르 시티'는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 대신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만 사용하도록 설계됐다. 중국은 상하이 인근에 있는 충밍섬에서 13억달러짜리 친환경 도시 조성 사업인 '둥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덴마크는 수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도시 건설을 계획 중이다. 영국과 리비아 등도 '탄소 제로 도시'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친환경.생태도시 건설이 대세다. 충남 연기군과 공주시 일대에 건설될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는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이 공원 녹지 친수공간 등으로 꾸며진다.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마곡동.가양동)에는 한강물을 이용한 인공호수가 만들어져 환경 친화적 도시로 재탄생한다.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와 화성 송산그린시티 등도 수자원을 활용한 생태도시로 세워진다. 전남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시도하는 '태양도시(Sun-City)' 조성사업을,경남 창원시는 녹지율과 생태 기능을 높인 에코도시(생태도시) 사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충남 연기군.공주시에 2030년까지 건설 예정인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는 '탄소 중립 도시(Carbon-Neutral City)'로 만들어진다.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친환경 청정도시(eco-clean city)로 조성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인구 50만명이 거주할 세종시는 도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이산화탄소(CO2) 저감 계획을 세웠다. 1인당 CO2 배출량을 국내 다른 도시의 40% 수준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세종시는 개발 예정지역(72㎢)의 52.3%를 공원 녹지 친수공간으로 꾸민다. 특히 정부 청사 전체(59만㎡)의 옥상에도 정원을 설치하기로 했다. 바람의 방향을 고려해 건물을 배치,도시 내부의 바람길을 확보해 대기순환을 촉진시킬 계획이다. 세종시가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은 독일 프라이부르크시의 경우 알프스 산맥에서 불어오는 바람길을 활용해 도시 온도를 3도 낮췄다. 도시 내 하천을 연계하고 물순환 체계를 정립해 열섬 현상(도심기온이 외곽보다 높은 현상)을 막기로 했다.

자연환경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살리기 위해 저밀 주거지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세종시의 인구밀도는 ㏊당 68명이다. 분당(197명)이나 과천(197명)은 물론 친환경 도시로 이름이 높은 일본 다마신도시(97명)보다도 낮다.

도시건설 과정에서 탄소 발생을 줄이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탄소 발생을 억제하는 시공 및 현장관리 기술 등에 대한 지침을 마련,공사 현장에 활용키로 했다. 투입 에너지량 절감과 폐기물 발생량 절감,재활용자재 의무사용 비율,탄소저감 신기술 및 재료 활용 장려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방침이다.

에너지효율 등급,에너지성능 지표(EPI)가 우수한 민간 건축물에 용적률과 분양가 등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등 건축 과정에서도 CO2 를 줄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공공청사 및 공공기관이 건축하는 공공주택의 에너지효율 등급 기준도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조정된다.

신재생에너지 도입도 확대된다. 태양열.태양광.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0%를 공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공건축물 건축비용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시설비로 사용토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3000가구 규모 태양광.태양열 시범단지도 조성할 계획이다. 환상형 대중교통 도로와 자전거 도로 386㎞를 건설해 자가용 이용률을 30% 이내로 최소화할 예정이다. 도시 전체에 620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인공습지 43만㎡를 조성키로 했다. 행복도시건설청 관계자는 "세종시가 국내외 도시들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모범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