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신홍순 신임 사장 "기업 경영마인드 도일할 겁니다"
입력
수정
"예술의전당이 한국의 공연을 예술에서 문화산업으로 발전시키는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의전당에 올라가는 공연들의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
14일 예술의전당 신임 사장으로 임명된 신홍순 전 LG패션 사장(67·사진)은 "예술의전당 운영에 기업경영 마인드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라면서 "문화강국을 이끄는 주축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예술의전당을 맡게 된 것에 대해서 "이팔성 전 서울시향 사장이 다양한 자금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것처럼 좋은 공연을 위한 '펀딩'을 잘하라는 의미일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서울시향이 놀랄 만한 발전을 하고 있고 나도 그 때문에 서울시향의 열렬한 팬이 됐다"고 말했다.
신 사장은 1966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에 입사해 30여년간 LG에서 일했다. LG패션 이사를 거쳐 LG패션 사장으로 일할 당시 미술작품 전시,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기업 이미지를 높이는 '문화 마케팅'을 펼쳤다. 예술을 좋아하고 문화계에 두터운 인맥을 쌓아온 경영인이라는 신 사장의 이력이 '문화예술적 감각과 경영 노하우를 모두 가진 인물'을 찾으려는 정부의 의도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패션 기업의 대표로서 '베스트드레서'에 선정되기도 한 신 사장은 1995년 'LG 상사 반도패션'이 'LG 패션'으로 이름이 바뀔 때 기업 이미지 홍보를 위해 직접 광고에 출연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는 클래식 애호가라는 자신의 이미지 때문에 예술의전당의 역할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는 기우라고 잘라말했다. "예술의전당은 복합 문화 공간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조화롭게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라면 순수예술이든 대중예술이든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14일 예술의전당 신임 사장으로 임명된 신홍순 전 LG패션 사장(67·사진)은 "예술의전당 운영에 기업경영 마인드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라면서 "문화강국을 이끄는 주축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예술의전당을 맡게 된 것에 대해서 "이팔성 전 서울시향 사장이 다양한 자금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것처럼 좋은 공연을 위한 '펀딩'을 잘하라는 의미일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서울시향이 놀랄 만한 발전을 하고 있고 나도 그 때문에 서울시향의 열렬한 팬이 됐다"고 말했다.
신 사장은 1966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에 입사해 30여년간 LG에서 일했다. LG패션 이사를 거쳐 LG패션 사장으로 일할 당시 미술작품 전시,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기업 이미지를 높이는 '문화 마케팅'을 펼쳤다. 예술을 좋아하고 문화계에 두터운 인맥을 쌓아온 경영인이라는 신 사장의 이력이 '문화예술적 감각과 경영 노하우를 모두 가진 인물'을 찾으려는 정부의 의도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패션 기업의 대표로서 '베스트드레서'에 선정되기도 한 신 사장은 1995년 'LG 상사 반도패션'이 'LG 패션'으로 이름이 바뀔 때 기업 이미지 홍보를 위해 직접 광고에 출연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는 클래식 애호가라는 자신의 이미지 때문에 예술의전당의 역할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는 기우라고 잘라말했다. "예술의전당은 복합 문화 공간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조화롭게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라면 순수예술이든 대중예술이든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