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왜?] 구두는 일본어에서 왔다는데…
입력
수정
신발은 디자인에 따라 샌들,스니커,로퍼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런 신발 명칭들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요즘 우리가 신는 신발은 모두 해외에서 들어온 것들이라 명칭도 대부분 외국어이다. 어원을 알면 신발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여름철 여성들이 자주 신는 샌들(sandal)은 고대 그리스어로 널판지를 뜻하는 '샌달리온(sandalion)'에서 나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발판을 대고 끈으로 발 부분을 묶어 신던 것이 오늘날 샌들이 된 것.스니커(sneaker)와 로퍼(loafer)는 신는 사람의 모습에서 이름이 붙었다. 스니커란 밑창을 고무로 만든 운동화를 일컫는데 구두보다 발자국 소리가 덜 난다. 이런 신발을 신은 사람은 살금살금 걷는 것같이 보여 영어로 '살금살금 걷는 사람'이란 뜻의 'sneaker'가 신발 이름이 된 것이다. 로퍼는 신발 입구가 신축성 있는 고무 밴드여서 끈을 묶을 필요 없이 한 번에 신는 구두를 말한다. 영어로 'loafer'는 '게으름뱅이,건달'을 뜻하는데 발에 아무렇게나 걸쳐 신을 수 있어 게으른 사람이 주로 신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됐다.
끈을 묶는 신사용 구두를 통칭하는 옥스퍼드화(Oxford shoe)는 17세기 영국 옥스퍼드대 학생들이 즐겨 신었다고 해 이런 이름이 지어졌다.
하지만 순우리말 같은 '구두'도 실은 일본어 '구츠(靴=くつ)'에서 따 왔다. 구한 말 구두가 들어온 초기에는 양화(洋靴ㆍ서양 신)라고 부르기도 했다. 당시 일본에서 제화 기술을 배워 온 사람들이 서울에 제화점을 내면서 일본말 그대로 '구츠'라 부르다 변형된 것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요즘 우리가 신는 신발은 모두 해외에서 들어온 것들이라 명칭도 대부분 외국어이다. 어원을 알면 신발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여름철 여성들이 자주 신는 샌들(sandal)은 고대 그리스어로 널판지를 뜻하는 '샌달리온(sandalion)'에서 나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발판을 대고 끈으로 발 부분을 묶어 신던 것이 오늘날 샌들이 된 것.스니커(sneaker)와 로퍼(loafer)는 신는 사람의 모습에서 이름이 붙었다. 스니커란 밑창을 고무로 만든 운동화를 일컫는데 구두보다 발자국 소리가 덜 난다. 이런 신발을 신은 사람은 살금살금 걷는 것같이 보여 영어로 '살금살금 걷는 사람'이란 뜻의 'sneaker'가 신발 이름이 된 것이다. 로퍼는 신발 입구가 신축성 있는 고무 밴드여서 끈을 묶을 필요 없이 한 번에 신는 구두를 말한다. 영어로 'loafer'는 '게으름뱅이,건달'을 뜻하는데 발에 아무렇게나 걸쳐 신을 수 있어 게으른 사람이 주로 신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됐다.
끈을 묶는 신사용 구두를 통칭하는 옥스퍼드화(Oxford shoe)는 17세기 영국 옥스퍼드대 학생들이 즐겨 신었다고 해 이런 이름이 지어졌다.
하지만 순우리말 같은 '구두'도 실은 일본어 '구츠(靴=くつ)'에서 따 왔다. 구한 말 구두가 들어온 초기에는 양화(洋靴ㆍ서양 신)라고 부르기도 했다. 당시 일본에서 제화 기술을 배워 온 사람들이 서울에 제화점을 내면서 일본말 그대로 '구츠'라 부르다 변형된 것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