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TA비준 지연에 이태식 대사 뿔났다
입력
수정
"유럽 상품이 한국 시장을 선점하더라도 미국은 절대 한국을 탓하지 마라."
이태식 주미대사가 단단히 뿔이 났다.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계연합과 라틴아메리카무역연합,미국 상공회의소 등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에 있는 미 하원 빌딩의 캐넌테라스에서 공동으로 마련한 'FTA 비준동의 촉구대회'에서다. 이 대사는 미 의회의 한ㆍ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촉구하는 연설에서 하원 건물을 가리키며 "내가 이 건물을 지금까지 몇 번을 방문했는지 셀 수도 없으며 FTA 통과를 위해서라면 앞으로도 몇 번을 더 오더라도 상관없다"고 운을 뗐다. 실제로 그가 미 의원들을 만나 비준동의안 처리를 설득하는 발품을 판 횟수는 300회를 웃돈다.
그는 이어 "미국 상품이 한때 한국의 수입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지만 지금은 3,4위로 떨어졌다"면서 "한국 시장에서 미국이 다시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려면 FTA 통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사는 최근 미 앨라배마 몽고메리의 현대자동차 공장을 방문한 경험담도 곁들여 소개했다. "한때 가축이 풀을 뜯어 먹던 곳에 자동차 공장이 들어서 현지에 상당한 고용을 창출하면서 경제적으로 큰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FTA를 통해 이런 사례가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이태식 주미대사가 단단히 뿔이 났다.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계연합과 라틴아메리카무역연합,미국 상공회의소 등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에 있는 미 하원 빌딩의 캐넌테라스에서 공동으로 마련한 'FTA 비준동의 촉구대회'에서다. 이 대사는 미 의회의 한ㆍ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촉구하는 연설에서 하원 건물을 가리키며 "내가 이 건물을 지금까지 몇 번을 방문했는지 셀 수도 없으며 FTA 통과를 위해서라면 앞으로도 몇 번을 더 오더라도 상관없다"고 운을 뗐다. 실제로 그가 미 의원들을 만나 비준동의안 처리를 설득하는 발품을 판 횟수는 300회를 웃돈다.
그는 이어 "미국 상품이 한때 한국의 수입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지만 지금은 3,4위로 떨어졌다"면서 "한국 시장에서 미국이 다시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려면 FTA 통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사는 최근 미 앨라배마 몽고메리의 현대자동차 공장을 방문한 경험담도 곁들여 소개했다. "한때 가축이 풀을 뜯어 먹던 곳에 자동차 공장이 들어서 현지에 상당한 고용을 창출하면서 경제적으로 큰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FTA를 통해 이런 사례가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