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약세장 상승률 20%..이번 반등 강도는?-한국

한국투자증권은 29일 약세장에서도 반등은 나타날 수 있다며 구조적인 리스크가 주는 위험과 떨어진 주가가 주는 기회를 동시에 봐야할 시점이라고 제시했다.

이 증권사 김학균 연구원은 "지금은 시스템의 붕괴 가능성에 베팅하느냐, 아니면 정책적 대응을 통한 위기의 완화 가능성에 베팅하느냐를 선택해야 한다"며 "현재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개입, 이에 따른 위기의 완화가능성에 무게 중심을 실어야 할 때"라고 분석했다.시스템 붕괴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다면 주가는 빠른 속도로 반등세를 나타낼 것으로 김 연구원은 전망했다. 기대하는 반등의 강도는 과거 한국 증시에서 나타났던 약세장 반등의 강도를 통해 가늠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3~5월 반등세를 포함해 한국 증시의 약세장에서는 25차례의 약세장 반등이 나타났는데 평균 상승률은 20%였다.

1998년 1월의 이상 급등 사례 등 평균을 왜곡시키는 사례들은 제외하더라도 17.6%가 올랐다. 한국 증시의 약세장은 131개월 동안 진행됐는데 25번에 걸쳐 약세장 반등이 나타나 약세장에서도 1년에 2차례 정도는 주식시장이 강한 반등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김 연구원은 "약세장 반등 이후의 주가 흐름은 예전처럼 다시 떨어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이는 앞으로 관찰해야 할 부분이지 예단을 요구하는 영역은 아니다"며 "어쨋든 미국 금융 구조조정을 급진적으로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은 벌었고 당장은 반등을 즐길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