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2세 정체성 살리기에도 앞장"...뉴질랜드 첫 한인 국회의원 당선된 멜리사 리씨
입력
수정
"한국계 목소리 높여 주류사회 편입"
"의회에서 소수계 민족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한국계가 뉴질랜드의 주류사회에 편입될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지난 8일 치러진 뉴질랜드 총선에서 야당인 국민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에 뽑힌 한국계 멜리사 리(한국명 이지연·43) 당선인은 "한국계 젊은이들을 단합시킬 리더십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계 이민자가 현지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는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에 이어 리 당선인이 두 번째이며 여성으로는 처음이다. 뉴질랜드 인구 400만명 가운데 한국계는 3만5000여명에 불과하다. "몇 년 전부터 국민당으로부터 정치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이 왔지만 아들(10세)이 어려 망설여왔다"는 리 당선인은 "한인 커뮤니티에 봉사하겠다는 마음으로 총선 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선에서 존 키 총재가 이끄는 국민당은 122석 가운데 59석을 획득,헬렌 클라크 총리가 이끌던 노동당(43석)을 제치고 9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국민당은 5석을 얻은 액트당,1석을 획득한 연합미래당 등과 연대해 새 정부를 구성할 계획이다.
리 당선인은 "지난 9년간 노동당 정부의 정책 때문에 뉴질랜드 경제상황이 좋지 않고 한국음식점도 손님이 없어 텅 비고 있다"며 "앞으로 경제를 발전시켜 해외로 돈벌이 나가는 뉴질랜드 젊은이들을 다시 불러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동당 집권기간에 보건복지 분야 재정투입 규모는 2배로 커졌지만 의사나 간호사 숫자는 증가하지 않고 정부 관료 숫자만 늘었다는 게 리 당선인의 설명이다. 또 의사의 수입이 호주의 70% 수준밖에 안 돼 유능한 인재들이 해외로 떠나는 '두뇌유출 현상'이 심했다는 것.리 당선인은 "국민당이 100여개 개혁법안을 제출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바빠질 것"이라며 "국회 통상위원회에서 활동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리 당선인은 "한국은 뉴질랜드의 7번째 해외교역 상대로 매우 중요한 나라"라며 "한국과 뉴질랜드가 서로 앞서가는 분야를 교류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영화제에 참가하려 한국에 왔다가 사람들이 지하철에서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를 보는 것을 보고 놀랐다"는 리 당선인은 "뉴질랜드에 정보기술(IT) 분야를 발달시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국에서 태어나 11살 때 부모를 따라 말레이시아에 건너가 어린 시절을 보낸 리 당선인은 호주 디킨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공부한 뒤 1988년 뉴질랜드에 정착했다. 1989년 '뉴스 미디어 오클랜드'라는 신문사에 입사해 기자로 활동하다 1994년부터 뉴질랜드 국영방송(TVNZ) 앵커로 활약했다. 1996년에는 '아시아 비전'이라는 방송제작사를 설립해 그동안 방송프로그램 제작업무를 병행해왔다. 종군위안부를 소재로 한 영화 시나리오도 직접 써서 현재 한국·뉴질랜드 영화 공동제작을 추진 중이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한국계 아이들이 부모와 사고방식이 달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며 "그들을 돕기 위한 활동도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리 당선인은 특히 "한국이 앞서가고 잘돼야 저도 떳떳할 수 있다"며 "많이 격려해주기 바란다"고 말을 맺었다.
오클랜드(뉴질랜드)=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의회에서 소수계 민족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한국계가 뉴질랜드의 주류사회에 편입될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지난 8일 치러진 뉴질랜드 총선에서 야당인 국민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에 뽑힌 한국계 멜리사 리(한국명 이지연·43) 당선인은 "한국계 젊은이들을 단합시킬 리더십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계 이민자가 현지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는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에 이어 리 당선인이 두 번째이며 여성으로는 처음이다. 뉴질랜드 인구 400만명 가운데 한국계는 3만5000여명에 불과하다. "몇 년 전부터 국민당으로부터 정치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이 왔지만 아들(10세)이 어려 망설여왔다"는 리 당선인은 "한인 커뮤니티에 봉사하겠다는 마음으로 총선 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선에서 존 키 총재가 이끄는 국민당은 122석 가운데 59석을 획득,헬렌 클라크 총리가 이끌던 노동당(43석)을 제치고 9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국민당은 5석을 얻은 액트당,1석을 획득한 연합미래당 등과 연대해 새 정부를 구성할 계획이다.
리 당선인은 "지난 9년간 노동당 정부의 정책 때문에 뉴질랜드 경제상황이 좋지 않고 한국음식점도 손님이 없어 텅 비고 있다"며 "앞으로 경제를 발전시켜 해외로 돈벌이 나가는 뉴질랜드 젊은이들을 다시 불러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동당 집권기간에 보건복지 분야 재정투입 규모는 2배로 커졌지만 의사나 간호사 숫자는 증가하지 않고 정부 관료 숫자만 늘었다는 게 리 당선인의 설명이다. 또 의사의 수입이 호주의 70% 수준밖에 안 돼 유능한 인재들이 해외로 떠나는 '두뇌유출 현상'이 심했다는 것.리 당선인은 "국민당이 100여개 개혁법안을 제출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바빠질 것"이라며 "국회 통상위원회에서 활동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리 당선인은 "한국은 뉴질랜드의 7번째 해외교역 상대로 매우 중요한 나라"라며 "한국과 뉴질랜드가 서로 앞서가는 분야를 교류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영화제에 참가하려 한국에 왔다가 사람들이 지하철에서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를 보는 것을 보고 놀랐다"는 리 당선인은 "뉴질랜드에 정보기술(IT) 분야를 발달시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국에서 태어나 11살 때 부모를 따라 말레이시아에 건너가 어린 시절을 보낸 리 당선인은 호주 디킨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공부한 뒤 1988년 뉴질랜드에 정착했다. 1989년 '뉴스 미디어 오클랜드'라는 신문사에 입사해 기자로 활동하다 1994년부터 뉴질랜드 국영방송(TVNZ) 앵커로 활약했다. 1996년에는 '아시아 비전'이라는 방송제작사를 설립해 그동안 방송프로그램 제작업무를 병행해왔다. 종군위안부를 소재로 한 영화 시나리오도 직접 써서 현재 한국·뉴질랜드 영화 공동제작을 추진 중이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한국계 아이들이 부모와 사고방식이 달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며 "그들을 돕기 위한 활동도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리 당선인은 특히 "한국이 앞서가고 잘돼야 저도 떳떳할 수 있다"며 "많이 격려해주기 바란다"고 말을 맺었다.
오클랜드(뉴질랜드)=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