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窓] 경기침체-유동성 '시소게임'
입력
수정
주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기본 경제 여건과 유동성 투자심리일 것이다. 최근 상황을 보면 경기침체는 주가에 부정적이지만 유동성이 크게 늘어나고 투자심리는 다소 개선되고 있어 주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4분기부터 소비가 위축되면서 나빠졌다. 최근 들어선 그동안 경제성장을 지탱해왔던 수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경기침체 확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 내수와 수출 증가세가 같이 둔화되면서 내년 1분기까지는 경기가 더 나빠질 전망이다. 실물경제 상황만 보면 주식시장이 한 차례 더 심한 진통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과감한 금리 인하로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이 연방 기금금리의 목표 수준을 사상 최저 수준인 1%까지 내렸고 잉글랜드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도 11월 들어 기준금리를 각각 3.5%,3.25%로 인하했다. 일본은행은 금리를 0.3%까지 내려 사실상 '제로(0) 금리' 정책을 채택했다. 우리 한국은행도 10월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5.25%에서 4%까지 내렸다.
이에 따라 유동성이 크게 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4분기 이후 유동성이 크게 늘고 있다. 유동성 증가는 일반적으로 주가에 3분기 정도 선행해서 움직였는데,이런 시차를 고려하면 주가가 이제 바닥을 탈피한 시점인 것 같다.
이외에 투자자들,특히 해외 투자자들의 심리도 다소 개선되고 있다.
경기침체와 유동성 증가가 주식시장에서 시소게임을 하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주식시장에서 유동성 쪽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할 전망이다.
김영익 < 하나대투證 리서치센터장 >
한경닷컴(www.hankyung.com) 증권리더스 참조
우리 경제는 지난해 4분기부터 소비가 위축되면서 나빠졌다. 최근 들어선 그동안 경제성장을 지탱해왔던 수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경기침체 확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 내수와 수출 증가세가 같이 둔화되면서 내년 1분기까지는 경기가 더 나빠질 전망이다. 실물경제 상황만 보면 주식시장이 한 차례 더 심한 진통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과감한 금리 인하로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이 연방 기금금리의 목표 수준을 사상 최저 수준인 1%까지 내렸고 잉글랜드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도 11월 들어 기준금리를 각각 3.5%,3.25%로 인하했다. 일본은행은 금리를 0.3%까지 내려 사실상 '제로(0) 금리' 정책을 채택했다. 우리 한국은행도 10월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5.25%에서 4%까지 내렸다.
이에 따라 유동성이 크게 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4분기 이후 유동성이 크게 늘고 있다. 유동성 증가는 일반적으로 주가에 3분기 정도 선행해서 움직였는데,이런 시차를 고려하면 주가가 이제 바닥을 탈피한 시점인 것 같다.
이외에 투자자들,특히 해외 투자자들의 심리도 다소 개선되고 있다.
경기침체와 유동성 증가가 주식시장에서 시소게임을 하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주식시장에서 유동성 쪽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할 전망이다.
김영익 < 하나대투證 리서치센터장 >
한경닷컴(www.hankyung.com) 증권리더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