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탄 숭례문 안팎서 조선 후기 도로 확인

숭례문을 통과하던 일제강점기 이전 도로의 실체가 드러났다.

지난 8월부터 숭례문을 발굴조사 중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숭례문 안팎에서 조선 후기 도로면과 민가터,백자향로 등의 유물을 발굴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이 도로는 갈색 사질토를 6∼8차례(약 130∼140㎝) 쌓아 바닥을 다진 후 그 위에 가로 110㎝,세로100㎝,두께 10㎝가량의 얇은 돌을 덮어 노면을 포장하는 방식으로 정교하게 축조됐다. 광화문 권역과 육조거리에서 남대문에 이르는 수도의 중심도로였던 만큼 여느 도로보다 훨씬 치밀하고 견고하게 만들었음을 보여준다.

현재의 지표면보다 30∼60㎝ 아래에서 확인된 이 도로의 폭은 숭례문 밖 25m,숭례문 안 26m가량이다. 그러나 숭례문을 통과하던 도로 중앙부에서는 박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1898∼1899년 전차선로를 가설하면서 걷어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연구소는 또 도로 좌우에 있던 조선 후기~대한제국 시기(19~20세기 초) 민가터 3동,내부 구들시설 1기,외부 배수시설 3기도 확인했다. 숭례문 내부 북서편의 지표면 3m 아래에서는 원형 잡석 적심(주초석을 놓는 기초) 3기와 15∼16세기 분청사기편 및 백자편이 발굴됐다. 이는 임진왜란 이전의 조선 전기 건물터로 추정된다. 이 밖에 백자향로를 비롯한 백자 제기(祭器)류와 분청사기,청화백자 등 조선시대 도자기류,기와편ㆍ전돌편,일제강점기에 사용하던 외국 자기,상평통보와 일제시대 청동주화 등 다양한 유물도 출토됐다.

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조선 후기 숭례문 주변 도로면의 높이와 축조기법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숭례문 주변 지형 복원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