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신속히 해야 부실毒 차단"
입력
수정
국제금융 컨퍼런스, 과감한 경기부양책 필요
"부실 기업은 조속히 구조조정하고 경기 후퇴에 대비한 과감한 재정 및 통화정책을 펼쳐야 한다. ""시스템 위기가 올 가능성은 낮지만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계속될 것이므로 이에 대비해야 한다. "세계경제연구원과 국제통화기금(IMF)이 2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최근 세계 금융위기,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주제로 공동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국제 금융계의 고위 인사들이 내놓은 한국 경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다. 케네스 커티스 전 골드만삭스 아시아 부회장은 기조연설에서 "부실 채권을 완전히 처리하고 구조조정을 신속히 단행해야 부실이 독처럼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커티스 전 부회장은 "부실 채권은 와인이 아니라 쓰레기"라며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을 버리고 과감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실 기업을 구조조정하지 않고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면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해결되는 것 같지만 이는 전체 시스템에 부실의 독성을 퍼뜨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커티스 부회장은 또 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자산가격이 내려가면서 부실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지기 때문에 과감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으로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통화량을 늘려야만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며 "다음 달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광우 금융위원장도 오찬연설에서 "IMF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로 전망하는 등 깊고 긴 경기 후퇴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불경기와 싸우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과감한 정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림쳉훈 IMF 통화자본시장국 부국장은 국내 금융시장 불안과 관련,시스템 위기를 맞을 가능성은 작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한 변동성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림 부국장은 "단기 외채 급증,은행의 높은 예대 비율,경상수지 적자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환율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아직 모든 카드를 다 쓰지는 않았다"며 "시장에서는 재정 지출 확대와 기준금리 추가 인하,통화 스와프 확대 등의 조치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부실 기업은 조속히 구조조정하고 경기 후퇴에 대비한 과감한 재정 및 통화정책을 펼쳐야 한다. ""시스템 위기가 올 가능성은 낮지만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계속될 것이므로 이에 대비해야 한다. "세계경제연구원과 국제통화기금(IMF)이 2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최근 세계 금융위기,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주제로 공동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국제 금융계의 고위 인사들이 내놓은 한국 경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다. 케네스 커티스 전 골드만삭스 아시아 부회장은 기조연설에서 "부실 채권을 완전히 처리하고 구조조정을 신속히 단행해야 부실이 독처럼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커티스 전 부회장은 "부실 채권은 와인이 아니라 쓰레기"라며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을 버리고 과감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실 기업을 구조조정하지 않고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면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해결되는 것 같지만 이는 전체 시스템에 부실의 독성을 퍼뜨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커티스 부회장은 또 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자산가격이 내려가면서 부실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지기 때문에 과감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으로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통화량을 늘려야만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며 "다음 달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광우 금융위원장도 오찬연설에서 "IMF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로 전망하는 등 깊고 긴 경기 후퇴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불경기와 싸우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과감한 정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림쳉훈 IMF 통화자본시장국 부국장은 국내 금융시장 불안과 관련,시스템 위기를 맞을 가능성은 작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한 변동성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림 부국장은 "단기 외채 급증,은행의 높은 예대 비율,경상수지 적자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환율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아직 모든 카드를 다 쓰지는 않았다"며 "시장에서는 재정 지출 확대와 기준금리 추가 인하,통화 스와프 확대 등의 조치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