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수입물가, 10년來 최대 하락폭 기록
입력
수정
국제유가 하락과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지난달 수출·입 물가가 동반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11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지난 10월에 비해 6.6% 하락해 지난 1998년 12월(-7.1%) 이후 10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전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4.4%로, 1년 2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으나 9월(2.3%) 오름세로 방향을 튼 뒤 지난 10월 4.1% 오르며 상승 폭을 키웠다. 그러나 11월에는 국제유가 하락과 국내 수요감소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수입물가는 그러나 전년 동월 대비 32.0%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7월 50.6%로 고점을 찍은 뒤 8, 9월 42.6%, 10월 47.1%에서 11월 32.0%로 둔화됐다.
한은 이병두 물가통계팀 과장은 "원달러 환율이 전년 동월 대비 51.6% 상승했지만 국제유가 하락폭이 크고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 수요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고 말했다. 환율 변동 효과가 제거된 계약통화기준(외화표시 수입가격)으로는 11월 수입물가가 전월 대비 11.0%,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1% 하락했다.
품목별로 전월 대비 등락률을 살펴보면 원자재 수입물가는 사상 최대폭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 원자재 수입물가의 하락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0년 이후로 최대폭이다.
원유 -22.8%, 아연광석 -23.6%, 동광석 -20.9%, 천연고무 -18.4%, 우피 -17.7%, 액화천연가스 -13.9% 등을 기록했다. 반면 무연탄과 천연인산칼슘, 유연탄, 철광석은 각 4.8%씩 올랐다.
중간재의 경우 나프타 -40.0%, 동 -32.0%, 콜트라증류물 -51.0%, 크실렌 -22.3%, 빌렛 -29.1%, 프로판가스 -35.0%, 비료 -20.9%는 하락한 반면 공구 8.1%, 고철 3.8%, 직접회로 4.8% 등은 상승했다. 소비재는 프로판가스 -35.0%, 부탄가스 -36.6%, 휘발유 -35.6%, 돼지고지 -2.4%, 양주 -2.0% 등이 내렸다.
한편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3.3% 하락한 반면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5% 상승했다.
수출물가는 지난 8월 -1.4%를 기록한 뒤 9월과 10월 각각 4.6%, 7.7%를 나타내며 상승세를 탔으나 지난달에는 세계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수요가 줄어들면서 하락(-3.3%)세로 돌아섰다.
환율상승의 영향으로 일반기계 및 장비제품, 운송장비제품 등이 올랐으나 국제유가의 하락과 세계적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부진의 영향으로 석유화학제품, 금속제품 등이 내렸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11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지난 10월에 비해 6.6% 하락해 지난 1998년 12월(-7.1%) 이후 10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전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4.4%로, 1년 2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으나 9월(2.3%) 오름세로 방향을 튼 뒤 지난 10월 4.1% 오르며 상승 폭을 키웠다. 그러나 11월에는 국제유가 하락과 국내 수요감소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수입물가는 그러나 전년 동월 대비 32.0%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7월 50.6%로 고점을 찍은 뒤 8, 9월 42.6%, 10월 47.1%에서 11월 32.0%로 둔화됐다.
한은 이병두 물가통계팀 과장은 "원달러 환율이 전년 동월 대비 51.6% 상승했지만 국제유가 하락폭이 크고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 수요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고 말했다. 환율 변동 효과가 제거된 계약통화기준(외화표시 수입가격)으로는 11월 수입물가가 전월 대비 11.0%,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1% 하락했다.
품목별로 전월 대비 등락률을 살펴보면 원자재 수입물가는 사상 최대폭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 원자재 수입물가의 하락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0년 이후로 최대폭이다.
원유 -22.8%, 아연광석 -23.6%, 동광석 -20.9%, 천연고무 -18.4%, 우피 -17.7%, 액화천연가스 -13.9% 등을 기록했다. 반면 무연탄과 천연인산칼슘, 유연탄, 철광석은 각 4.8%씩 올랐다.
중간재의 경우 나프타 -40.0%, 동 -32.0%, 콜트라증류물 -51.0%, 크실렌 -22.3%, 빌렛 -29.1%, 프로판가스 -35.0%, 비료 -20.9%는 하락한 반면 공구 8.1%, 고철 3.8%, 직접회로 4.8% 등은 상승했다. 소비재는 프로판가스 -35.0%, 부탄가스 -36.6%, 휘발유 -35.6%, 돼지고지 -2.4%, 양주 -2.0% 등이 내렸다.
한편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3.3% 하락한 반면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5% 상승했다.
수출물가는 지난 8월 -1.4%를 기록한 뒤 9월과 10월 각각 4.6%, 7.7%를 나타내며 상승세를 탔으나 지난달에는 세계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수요가 줄어들면서 하락(-3.3%)세로 돌아섰다.
환율상승의 영향으로 일반기계 및 장비제품, 운송장비제품 등이 올랐으나 국제유가의 하락과 세계적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부진의 영향으로 석유화학제품, 금속제품 등이 내렸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