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수임건수 겨우 두자리…30만원 국선변호로 많이 배웠죠"


여광수 변호사는 아직도 지난 2003년을 생각하면 눈앞이 아득해진다. 다니던 대기업을 그만두고'딱 5년'만 공부하겠다고 시작한 사법시험 준비 5년차에 결국 고배를 마셨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다섯 살 난 딸은 이미 "아빠가 변호사"라고 동네방네 소문을 내고 다녔다. 이를 악물고 재도전한 그는 2005년 47회 사법시험에 합격,올해 개업 변호사로 첫발을 내디뎠다. 변호사로서 첫 번째 수임한 사건은 상속 사건이었다. 당사자들 간 조정으로 끝나 첫 사건 치고는 만족스런 결과였다. 그가 1년간 터득한 소송 승리의 비법은? 사건 당사자와 변호인 그리고 이 둘의 주변 사람들,이 3자가 오케스트라처럼 혼연일체로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이다.

"상담 제의만 받아도 새벽 3시까지 잠이 안 옵니다. 출근할 때도 그 생각,화장실에서도 그 생각뿐"이라는 새내기 변호사.그가 지난 1년간 수임한 건수는 국선 변호를 포함해 두자릿수다. "세자릿수에 가까운 두자릿수냐"고 넌지시 물어보니 "전혀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들 어렵다는데….초임 변호사가 첫술에 배부를 리 없지 않습니까"라는 말로 답변을 대신했다.

가장 기억나는 사건으로는 방화 사건을 꼽았다. 촛불집회가 한창이던 올해 중순,고깃집을 운영하던 한 40대 남자가 장사가 안되는 것을 비관해 부부싸움 후 술김에 가게에 불을 질러 버린 사건이다. 여 변호사는 피의자가 구속된 상태에서 국선 변호인으로 이 사건을 맡았다. "《로마인 이야기》에서 카이사르가 이런 말을 합니다. '공익과 사익을 함께 조화시켜라.' 변호사는 그런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카이사르의 말을 실천할 수 있으니까요. " 그는 결국 법정에서 집행유예 판결을 받아냈다. 사건 수임료는 고작 30만원.그러나 이후 그 피의자가 눈물을 흘리며 고마워하는 것을 보고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경험이었다"고 회상했다.

41세의 늦깎이 변호사는 1991년 한양대 법대를 졸업한 후 군 복무를 마치고 93년부터 사법시험 준비를 시작했다. 그러나 시험 준비는 녹록지 않았다.

어떻게 해야 하나 망설일 때 한 권의 책이 눈에 들어왔다. "기업이 앞으로 국가와 민족을 뛰어넘어 세상을 움직이는 주역으로 올라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거다 싶었죠." 결국 그는 기업 최전선에 뛰어들기로 마음 먹고 1994년 금성사(현 LG전자)에 입사했다. 그러나 앞만 보고 달린 지 5년. IMF 시기를 거치며 잘나가던 수백 개 대리점들이 줄줄이 도산하는 것을 보고 생각이 정반대로 바뀌게 된다.

"전문가가 아니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을 너무나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 오늘날의 여 변호사를 있게 한 배경이다.

2003년 포기냐 재도전이냐 기로에서 자신에게 가장 큰 자극을 줬던 그의 딸은 최근 또 하나의 화두를 던졌다고 한다. "애 엄마가 초등학교 일일 교사로 아빠가 가는 게 어떠냐고 물어보니 딸이'아빠는 잘나가는 변호사가 아니잖아'라고 합니다. 이거 눈 부릅뜨고 성공한 변호사가 돼야겠다는 생각에 정신이 번쩍 뜨이던데요,하하."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