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선 '탈모드' 대표원장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지만 봉사는 세상을 치료"

의사가운 벗고 봉사활동 나선

"의사나 하지 뭐하는 짓이냐는 소리도 들었지만 밥을 굶는 아이들을 보니 나몰라라 할 수가 없네요. "의사 가운을 벗어던지고 '결식아동 제로 운동본부'를 발족,사회봉사 활동에 나선 황기선 '탈모드' 대표원장(44)은 "결식아동을 누군가 돌보지 않으면 이들의 성격까지 병들게 될 것"이라며 안타까운 표정을 지었다.

황 원장은 소위 잘나가는 의사다. 2004년 경기도 평촌에 국내 첫 두피모발 전문 클리닉 '탈모드'를 개원,2년 만에 병원 체인을 35개로 늘렸다. 피부관리 전문 '미젠드' 체인도 13개로 확장하면서 의사 겸 사업가로 승승장구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대머리인 그가 탈모를 치료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고객이 더 늘었다고 한다. 그런 그가 1년 전 갑자기 의사 가운을 벗어 던졌다.

황 원장의 삶을 바꿔놓은 것은 신문에 난 '공부방' 관련 작은 기사였다.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결식아동이 20%란 사실이 처음엔 믿겨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학교에 찾아가 확인 후 결식아동을 돕겠다는 공문을 돌렸는데,그렇게 많은 신청이 들어올 줄 상상도 못했습니다. " 그는 겨울철에도 슬리퍼를 끌고 다니는 아이들이 불량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신발 살 돈이 없는 아이들이었다고 덧붙였다. 황 원장은 이때부터 결식아동을 줄여보기 위해 복지단체나 동료 의사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처음엔 도움을 주던 이들도 점점 피하는 눈치였다. 경제 불황에 기부금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였다. 그래서 생각해낸 게 '마일리지 포인트 기부운동'이다. 카드나 휴대폰 사용자로부터 포인트를 기부받아 현금화한 후 결식 학생의 봉사활동 점수와 맞교환하는 방식이다.

"매년 사용하지 않는 포인트를 돈으로 환산하면 1조원이 넘을 것입니다. 소비자들이 이런 포인트를 모두 기부하면 우리나라의 밥을 굶는 아이들 전체를 배부르게 할 수 있습니다. " 황 원장의 이런 계획에는 신한카드가 가장 먼저 동참했다.

황 원장은 동료 의사들을 이 운동에 참여시키는 게 또 다른 목표다. 기부나 봉사활동을 펼치고 싶어도 방법을 모르는 이들에게 길을 터주고,병에 걸린 결식아동이나 그 가족들을 돌보기 위해서도 의사들의 도움이 절실해서다. "의사는 봉사 개념이 강한 직업이잖아요. 하지만 요즘 의사들이 이익만 추구하다 보니 이익단체로 비쳐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의사들도 성공하고 싶으면 봉사와 기부를 일상화해야 합니다. "제약회사 마케팅 임원과 대표이사 등을 지낸 그는 창의적인 도전을 즐긴다. '탈모드'는 브랜드를 내걸고 시작한 탈모 전문 클리닉으로는 국내 첫 시도였다. '마일리지 포인트 기부운동'도 봉사활동의 새로운 모델이다. 황 원장은 이 모델로 특허를 출원 중이다. 국제적인 기부 모델로 키워 보겠다는 포부다. "우리 병원 네트워크가 대만에 진출해 있기 때문에 의사들을 교육시키면 아시아로 확대하는 것은 시간문제입니다. 또 세계적 카드사인 마스터나 비자 등과 손잡으면 세계 어린이들을 도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의사 공부에 15년을 투자했고,전성기에 의사 가운을 벗고 봉사활동에 뛰어든 것은 황 원장 개인에게는 큰 손해다. 환자를 못보면서 의료 지식이 점점 메말라 간다는 것.그는 그러나 병을 낫게 하는 것보다 사회를 치료하는 게 더 큰 보람이라고 생각한다. 돈 버는 재미보다 봉사의 행복감이 더 큰 것도 위안이다.

"내년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결식아동이란 말을 몰아낼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일리지 포인트가 쌓이는 업체는 모두 찾아다닐 생각입니다. " 열변을 토하던 황 원장은 만나야 할 사람들이 많다며 총총걸음으로 자리를 떴다.

글=최규술 기자/사진=김정환 인턴(한국외대 4학년)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