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턴 '1만弗 40년 운용' 보고서] 펀드, 역시 장기ㆍ적립식이 'Answer'
입력
수정
추운 겨울날씨처럼 펀드 시장의 투자심리도 잔뜩 움츠러들었다. 손실이 많은 일부 투자자들은 남아있는 잔액을 모두 환매하거나 부분 환매하기도 하고 적립식 가입자중에선 일시적으로 계좌이체를 중단하는 사례도 자주 목격된다.
저점을 확인한 후 다시 펀드에 자금을 넣겠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증시 바닥을 예측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길게 보면 시장에 발을 담그고 있는 것이 떠나는 것보다는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이 내놓은 보고서가 눈길을 끌고 있다. 템플턴은 1970년부터 2008년 9월 말까지 39년9개월의 긴 시간 동안 투자 유형별로 수익률을 계산했다.
투자 대상은 미국 증시의 S&P500 지수로 삼되 투자 스타일에 따라 '근심형''지속형''적립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세 유형의 투자자는 시작 시점에 똑같이 1만달러를 S&P500 지수에 투자했다고 가정했다.
우선 '근심형'은 S&P500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면 주식 투자를 그만두고 미 국채로 갈아타는 스타일이다. 단 지수가 하락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면 다시 증시로 돌아온다. 증시가 약세라고 판단하면 떠났다가 시장이 안정되면 다시 주식에 투자하는 안정 지향적인 투자자를 대변한다. 이 경우 원금은 지난해 3분기 말에 19만7286달러로 불어난 것으로 계산됐다. 이에 비해 '지속형' 투자자는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투자자는 증시 상황에 상관없이 초기 원금 1만달러를 기간 내내 묻어뒀다. 이 경우 원금은 작년 9월 말 43만6281달러로 늘었다. '근심형'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하지만 세 사람 중 가장 돈을 많이 불린 투자자는 '적립형'이다. 이 유형은 '근심형'과 반대로 S&P500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면 추가로 1000달러씩 투자한 케이스다. 39년9개월 동안 여섯 번의 추가투자 기회가 있었다. '적립형' 투자자의 평가액은 55만5136달러로 세 유형 중 가장 많았다.
서진희 프랭클린템플턴운용 이사는 "시장이 장기 상승추세에 있다면 단기간 변동성 장세가 나타나도 확신을 갖고 투자를 유지하거나 비중을 높여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증시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 단타매매보다 낫다고 프랭클린템플턴 측은 강조했다. 가령 1997년부터 2007년 말까지 11년간 S&P500 지수의 연평균 수익률은 5.91%지만 주가가 가장 높았던 10일을 놓쳤을 경우 평균 수익률은 1.13%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고 상승일 20일을 놓치면 -2.55%,30일을 시장에서 떠나 있으면 -5.72%로 오히려 손해를 봤다. 서 이사는 "변동성이 커지면 투자자들은 최저점을 예상하며 주식자산을 현금으로 바꾸곤 한다"며 "하지만 하락장을 뒤늦게 알게 되듯이 반등 때 투자기회 역시 놓치기 쉬우며 이 경우 수익률에 큰 타격을 입는다"고 지적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
저점을 확인한 후 다시 펀드에 자금을 넣겠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증시 바닥을 예측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길게 보면 시장에 발을 담그고 있는 것이 떠나는 것보다는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이 내놓은 보고서가 눈길을 끌고 있다. 템플턴은 1970년부터 2008년 9월 말까지 39년9개월의 긴 시간 동안 투자 유형별로 수익률을 계산했다.
투자 대상은 미국 증시의 S&P500 지수로 삼되 투자 스타일에 따라 '근심형''지속형''적립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세 유형의 투자자는 시작 시점에 똑같이 1만달러를 S&P500 지수에 투자했다고 가정했다.
우선 '근심형'은 S&P500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면 주식 투자를 그만두고 미 국채로 갈아타는 스타일이다. 단 지수가 하락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면 다시 증시로 돌아온다. 증시가 약세라고 판단하면 떠났다가 시장이 안정되면 다시 주식에 투자하는 안정 지향적인 투자자를 대변한다. 이 경우 원금은 지난해 3분기 말에 19만7286달러로 불어난 것으로 계산됐다. 이에 비해 '지속형' 투자자는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투자자는 증시 상황에 상관없이 초기 원금 1만달러를 기간 내내 묻어뒀다. 이 경우 원금은 작년 9월 말 43만6281달러로 늘었다. '근심형'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하지만 세 사람 중 가장 돈을 많이 불린 투자자는 '적립형'이다. 이 유형은 '근심형'과 반대로 S&P500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면 추가로 1000달러씩 투자한 케이스다. 39년9개월 동안 여섯 번의 추가투자 기회가 있었다. '적립형' 투자자의 평가액은 55만5136달러로 세 유형 중 가장 많았다.
서진희 프랭클린템플턴운용 이사는 "시장이 장기 상승추세에 있다면 단기간 변동성 장세가 나타나도 확신을 갖고 투자를 유지하거나 비중을 높여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증시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 단타매매보다 낫다고 프랭클린템플턴 측은 강조했다. 가령 1997년부터 2007년 말까지 11년간 S&P500 지수의 연평균 수익률은 5.91%지만 주가가 가장 높았던 10일을 놓쳤을 경우 평균 수익률은 1.13%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고 상승일 20일을 놓치면 -2.55%,30일을 시장에서 떠나 있으면 -5.72%로 오히려 손해를 봤다. 서 이사는 "변동성이 커지면 투자자들은 최저점을 예상하며 주식자산을 현금으로 바꾸곤 한다"며 "하지만 하락장을 뒤늦게 알게 되듯이 반등 때 투자기회 역시 놓치기 쉬우며 이 경우 수익률에 큰 타격을 입는다"고 지적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