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만원 사장 "유·무선 독식 KT·KTF 합병 반대"
입력
수정
SKㆍLG, 국민세금으로 구축한 필수설비 KT서 분리해야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이 KT와 KTF의 합병결정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나섰다. LG텔레콤 LG데이콤 LG파워콤 등 LG의 '3콤'과 케이블TV 등도 반(反) KT전선을 구축,국내 통신업계가 완전히 둘로 쪼개져 벼랑끝 승부를 펼치고 있다. 정 사장은 21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 통신업계가 국난 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마당에 시장을 독점구도로 끌고가려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KT가 국내 통신시장과 통신자원을 독식하게 돼 시장경쟁이 심각하게 제한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T, 통합 컨버전스 활성화 되면 3만명 고용창출 효과
◆KT-SKT,양보없는 기싸움보조금이나 요금 경쟁 등으로 바람잘 날이 없는 통신업계지만 최고경영자(CEO)가 전투의 선봉에 서는 일은 흔치 않다. 그런데도 정 사장은 취임 한달도 안돼 KT를 공격하는 포문을 열었다.
KT와 KTF가 합병하면 매출액(17조5000억원)과 가입자 수(4054명) 모두에서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게 된다. 2강(KT · SK)1약(LG)구도인 통신시장이 단번에 1강(KT)1중(SK)1약(LG) 구도로 재편되는 것.유 · 무선 통신시장이 KT 천하로 뒤바뀌게 되는 셈이다.
정 사장은 "KT가 유 · 무선 시장을 동시에 장악하게 되면 품질 경쟁,요금 인하 경쟁이 사라지고 결국에는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힘을 기르지도 못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의 통신계열사인 '3콤'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가 합병을 인가하더라도 KT의 독점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는 강력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SK측이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며 "신세기통신과 SK브로드밴드(당시 하나로텔레콤)를 인수할 때 정부의 각종 인가 조건 부과로 골머리를 앓았고 올해는 황금주파수인 800메가헤르츠(MHz) 일부를 반납해야 하는 상황이 작용한 것 아니겠느냐"고 나름대로 풀이했다.
◆필수설비 떼내라
KT가 보유한 전봇대 통신관로 등 필수설비가 최대 이슈다. 전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있는 필수설비는 KT가 확고한 경쟁 우위를 갖는 부분.경쟁사들은 KT에 일정 대가를 내고 이 시설을 빌려쓴다. 조신 SK브로드밴드 사장은 "필수설비를 쓰겠다고 해도 태반을 거절하는 등 KT의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했다. 실제 작년 SK브로드밴드는 KT에 486건의 필수설비 이용요청을 했지만 허용된 것은 불과 67건이었다.
통신사들이 필수설비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현실적인 이유도 한 몫한다. 도심에 관로를 설치하려면 도로를 파헤쳐야 하는데 지방자치단체들이 교통방해 등을 이유로 허가를 잘 내주지 않는다. 또 KT 수준의 필수설비를 갖추려면 40조원 상당의 엄청난 비용을 들여야 한다. 조 사장은 "합병과 무관하게 유선시장 경쟁 활성화를 위해 필수설비를 KT에서 떼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KT는 필수설비는 제도적으로 이미 개방돼 있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KT는 초당 50메가비트급의 광랜 가입자 비중이 KT는 24%에 불과한데 SK브로드밴드는 45%,LG파워콤은 25%로 오히려 높다고 반박하고 있다. ◆IT 산업 육성 vs 독점 심화
이석채 KT 사장은 "KT와 KTF가 합병하면 유 · 무선이 통합된 컨버전스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밖에 없다"며 "젊은이들은 물론 벤처기업가들이 다양한 사업모델을 만들어 성공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될 것"이라고 했다. 향후 5년간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3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낼 것이라는 구체적인 수치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정 사장은 "KT의 독점 심화로 IT산업이 공멸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KT의 독점만 강화시켜 산업 성장에 오히려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정보기술(IT) 산업의 육성은 커녕 과당 경쟁을 불러 결국 소비자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될 것"이라고 했다. LG텔레콤은 KT의 유선시장 지배력이 무선시장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지난 3월 폐지된 휴대폰 보조금 제한을 다시 부활하고 결합상품 규제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