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비규제 강화…최고의 수혜주는?
입력
수정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연비기준의 강화와 각주의 독자적인 배기가스 규제 권한 행사 등을 골자로 최근 친환경정책을 발표했다.
부시 행정부가 2016년까지 시행을 늦춰놓은 온실가스 규제를 앞당기기로 했으며, 연비는 CAFE(평균연비제도)를 더욱 강화해 2010년 4분기경 출시되는 2011년 모델부터 2020년까지 연비효율을 기존대비 40% 향상(35mpg, 14.87Km/L)시키겠다고 발표했다.하나대투증권은 29일 이와관련 "미국의 그린카 정책은 자동차메이커들의 투자부담 가중이라는 논란에도 원유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자동차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이에 따른 수혜주로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LG화학을 꼽았다.
우선 차세대 자동차 시장규모가 커지기 전까지는 소형차가 경쟁력이 있다는 것. 연비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는 소형차와 차세대자동차(하이브리드 등)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연비와 배기가스 저감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메이커에게는 유리한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연비규제에 맞춘 연구·개발(R&D) 능력이나 투자여력이 높은 메이커들이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이다.하지만 GM이나 크라이슬러와 같은 미국 주요 메이커들은 당분간 구조조정에 힘을 쏟을 수 밖에 없으며, 소형차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개발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는 판단이다.
반면 국내 메이커들은 소형차에 대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장규제와 표준화에 따라 적절히 따라가는 전략도 유리하다고 이 애널리스트는 전했다.
이 밖에도 초기에는 핵심부품업체의 수혜가 더 크다는 판단이다. GM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인 볼트의 경우 콘티넨탈과 경쟁해 LG화학이 납품업체로 선정되는 등 기술력과 원가경쟁력을 갖춘 일본과 한국부품업체들의 수혜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다만 그는 "완성차의 가격결정력을 감안할 때 적정한 시장규모(현재 원가수준의 하이브리드 BEP는 차종당 100만대 수준으로 알려지고 있음)를 넘어서는 시장성장기에는 완성차의 몫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부시 행정부가 2016년까지 시행을 늦춰놓은 온실가스 규제를 앞당기기로 했으며, 연비는 CAFE(평균연비제도)를 더욱 강화해 2010년 4분기경 출시되는 2011년 모델부터 2020년까지 연비효율을 기존대비 40% 향상(35mpg, 14.87Km/L)시키겠다고 발표했다.하나대투증권은 29일 이와관련 "미국의 그린카 정책은 자동차메이커들의 투자부담 가중이라는 논란에도 원유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자동차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이에 따른 수혜주로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LG화학을 꼽았다.
우선 차세대 자동차 시장규모가 커지기 전까지는 소형차가 경쟁력이 있다는 것. 연비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는 소형차와 차세대자동차(하이브리드 등)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연비와 배기가스 저감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메이커에게는 유리한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연비규제에 맞춘 연구·개발(R&D) 능력이나 투자여력이 높은 메이커들이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이다.하지만 GM이나 크라이슬러와 같은 미국 주요 메이커들은 당분간 구조조정에 힘을 쏟을 수 밖에 없으며, 소형차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개발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는 판단이다.
반면 국내 메이커들은 소형차에 대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장규제와 표준화에 따라 적절히 따라가는 전략도 유리하다고 이 애널리스트는 전했다.
이 밖에도 초기에는 핵심부품업체의 수혜가 더 크다는 판단이다. GM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인 볼트의 경우 콘티넨탈과 경쟁해 LG화학이 납품업체로 선정되는 등 기술력과 원가경쟁력을 갖춘 일본과 한국부품업체들의 수혜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다만 그는 "완성차의 가격결정력을 감안할 때 적정한 시장규모(현재 원가수준의 하이브리드 BEP는 차종당 100만대 수준으로 알려지고 있음)를 넘어서는 시장성장기에는 완성차의 몫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