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와이드웹(WWW) 탄생 20주년 맞아
입력
수정
[한경닷컴] 세계인의 삶을 크게 변화시킨 인터넷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월드와이드웹(WWW)이 13일로 20번째 생일을 맞았다.하이퍼텍스트 기능을 활용,문자 영상 음성 등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용해 인터넷상의 다양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 인터넷을 크게 활성화시킨 주역이다.
영국 출신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천재인 버너스-리는 웹 개발에 함께 참여했던 동료 연구원들과 함께 이날 CERN에서 자축 행사를 했다고 AFP통신이 13일 보도했다.웹은 지난 1989년 당시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젊은 연구원인 팀 버너스-리가 창안해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개발했다.현재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 연구원과 영국 사우스햄턴 대학교수를 겸하는 버너스-리 박사는 “당시에는 26대에 불과했던 웹 서버가 지금은 2의 10승 내지 11승까지 증가했다”며 “인간 뇌의 뉴런(신경단위) 만큼 많은 셈”이라고 말했다. 버너스-리가 웹을 구상했던 애초 목적은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견해와 논평을 주고받기 위한 것이었다.1989년 3월 그는 직속 상사에게 ‘정보 관리 제안서’라는 문서를 제출했고 상사는 “모호하지만 흥미롭다”면서 이를 재가했다.
최초의 웹이 탄생하기까지 그로부터 1년여 세월이 걸렸고 초창기에는 유럽의 핵물리학자들만 이를 이용할 수 있었다.버너스-리는 동료였던 로베르 켈리오와 함께 웹의 주소와 링크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하이퍼텍스트 언어를 만들었다.1990년 10월 오늘날 웹 브라우저와 상당히 흡사한 최초의 웹 브라우저가 나왔다.웹 기술은 CERN의 울타리를 벗어나 1991년부터 폭넓게 사용되는 길이 열렸고,그 후 2년이 흘러 CERN은 로열티를 포기하면서 웹의 세계화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버너스-리와 켈리오 등 웹의 선구자들은 웹 기술의 개방성과 보편성을 극찬하면서도 인터넷의 일부 부작용에 대해서는 불쾌해 했다.켈리오는 스위스 RSR 라디오 방송과의 회견에서 인터넷 광고의 범람,개인 정보의 과다 노출,어린이 보호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버너스-리 박사도 자축 행사에서 오늘날 웹 이용자들의 개인 데이터가 속속들이 파악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염탐 행위”라며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해 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영국 출신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천재인 버너스-리는 웹 개발에 함께 참여했던 동료 연구원들과 함께 이날 CERN에서 자축 행사를 했다고 AFP통신이 13일 보도했다.웹은 지난 1989년 당시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젊은 연구원인 팀 버너스-리가 창안해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개발했다.현재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 연구원과 영국 사우스햄턴 대학교수를 겸하는 버너스-리 박사는 “당시에는 26대에 불과했던 웹 서버가 지금은 2의 10승 내지 11승까지 증가했다”며 “인간 뇌의 뉴런(신경단위) 만큼 많은 셈”이라고 말했다. 버너스-리가 웹을 구상했던 애초 목적은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견해와 논평을 주고받기 위한 것이었다.1989년 3월 그는 직속 상사에게 ‘정보 관리 제안서’라는 문서를 제출했고 상사는 “모호하지만 흥미롭다”면서 이를 재가했다.
최초의 웹이 탄생하기까지 그로부터 1년여 세월이 걸렸고 초창기에는 유럽의 핵물리학자들만 이를 이용할 수 있었다.버너스-리는 동료였던 로베르 켈리오와 함께 웹의 주소와 링크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하이퍼텍스트 언어를 만들었다.1990년 10월 오늘날 웹 브라우저와 상당히 흡사한 최초의 웹 브라우저가 나왔다.웹 기술은 CERN의 울타리를 벗어나 1991년부터 폭넓게 사용되는 길이 열렸고,그 후 2년이 흘러 CERN은 로열티를 포기하면서 웹의 세계화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버너스-리와 켈리오 등 웹의 선구자들은 웹 기술의 개방성과 보편성을 극찬하면서도 인터넷의 일부 부작용에 대해서는 불쾌해 했다.켈리오는 스위스 RSR 라디오 방송과의 회견에서 인터넷 광고의 범람,개인 정보의 과다 노출,어린이 보호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버너스-리 박사도 자축 행사에서 오늘날 웹 이용자들의 개인 데이터가 속속들이 파악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염탐 행위”라며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해 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