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손목시계
입력
수정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과 모델 겸 가수였던 브루니의 결혼식을 앞뒀던 지난해 초.패션계의 이목은 이들이 어떤 예물을 주고 받을지에 집중됐다. 사르코지대통령은 크리스찬 디올의 반지를 골랐고 브루니는 파텍 필립의 시계를 선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브루니의 '안목'에 찬사가 쏟아졌다.
250억원대의 재산을 소유한 그녀가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가 줄줄이 박힌 '초특급 제품'을 줄 것으로 예상한 사람들이 많았으나 그 대신 최고의 무브먼트를 갖췄으면서도 튀지 않는 디자인의 파텍 필립을 선물했기 때문.시계라는 예물 하나로 자신의 남자가 대중들에게 어떻게 보여지기 바라는지를 잘 표현했던 것이다. 손목시계가 남성 패션의 핵심 아이템으로 부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롯데백화점의 1분기 시계 매출은 작년보다 30%나 늘었고 CK, 티쏘, 라도, 론진 등을 팔고 있는 '스와치 편집숍'은 무려 134%의 판매신장률을 보였다. 현대백화점도 올 들어 브레게, 롤렉스, 바쉐론 콘스탄틴, 블랑팡 등 1억원이 넘는 최고급 시계 매출이 38%나 증가했다.
불황에도 전혀 영향을 받지 않자 백화점들은 시계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매장을 늘리는 추세다. 고객은 주로 20~40대 남성.각기 다른 브랜드의 시계를 3~4개씩 사서 옷에 맞춰 번갈아 차는 경우도 적지 않다니 '열풍'이라고 부를 만하다.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웬 시계 타령이냐고 딴죽을 걸 사람도 있겠지만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시계를 택한다면 구태여 흠잡을 일도 아니다. 미국의 유명한 패션 코치인 팀 건은 "패션은 일종의 기호학이어서 그 사람의 생각과 문화가 모두 나타나는 징표"라고 했다. 시계도 단지 시간을 알려주는 기계가 아니라 착용한 사람의 취향과 인격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봉황 문양이 들어간 '대통령 시계'를 차든,짝퉁을 차든 시빗거리가 되지 않는 시대다. 명품시계는 보통 400~500개의 부품을 2~3개월 동안 손으로 정교하게 짜맞춰 만들어진다. 일종의 혼이 담긴 시계다. 좋은 제품을 가려내는 안목과 브랜드에 대한 존중을 섞어 당당하게 산 것이라면 비싸다 해도 문제될 게 없을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시계의 값이 아니라 '어떻게 생각하고 선택했는지'가 아닐까.
이정환 논설위원 jhlee@hankyung.com
250억원대의 재산을 소유한 그녀가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가 줄줄이 박힌 '초특급 제품'을 줄 것으로 예상한 사람들이 많았으나 그 대신 최고의 무브먼트를 갖췄으면서도 튀지 않는 디자인의 파텍 필립을 선물했기 때문.시계라는 예물 하나로 자신의 남자가 대중들에게 어떻게 보여지기 바라는지를 잘 표현했던 것이다. 손목시계가 남성 패션의 핵심 아이템으로 부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롯데백화점의 1분기 시계 매출은 작년보다 30%나 늘었고 CK, 티쏘, 라도, 론진 등을 팔고 있는 '스와치 편집숍'은 무려 134%의 판매신장률을 보였다. 현대백화점도 올 들어 브레게, 롤렉스, 바쉐론 콘스탄틴, 블랑팡 등 1억원이 넘는 최고급 시계 매출이 38%나 증가했다.
불황에도 전혀 영향을 받지 않자 백화점들은 시계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매장을 늘리는 추세다. 고객은 주로 20~40대 남성.각기 다른 브랜드의 시계를 3~4개씩 사서 옷에 맞춰 번갈아 차는 경우도 적지 않다니 '열풍'이라고 부를 만하다.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웬 시계 타령이냐고 딴죽을 걸 사람도 있겠지만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시계를 택한다면 구태여 흠잡을 일도 아니다. 미국의 유명한 패션 코치인 팀 건은 "패션은 일종의 기호학이어서 그 사람의 생각과 문화가 모두 나타나는 징표"라고 했다. 시계도 단지 시간을 알려주는 기계가 아니라 착용한 사람의 취향과 인격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봉황 문양이 들어간 '대통령 시계'를 차든,짝퉁을 차든 시빗거리가 되지 않는 시대다. 명품시계는 보통 400~500개의 부품을 2~3개월 동안 손으로 정교하게 짜맞춰 만들어진다. 일종의 혼이 담긴 시계다. 좋은 제품을 가려내는 안목과 브랜드에 대한 존중을 섞어 당당하게 산 것이라면 비싸다 해도 문제될 게 없을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시계의 값이 아니라 '어떻게 생각하고 선택했는지'가 아닐까.
이정환 논설위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