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GM도 '신속파산' 처리 가능성

'출자전환' 채권단과 이견 못좁혀
미국 정부가 지난달 30일 크라이슬러를 신속파산 절차를 통해 회생시키기로 결정함에 따라 자구안 제출 시한이 1개월 앞으로 다가온 제너럴모터스(GM)의 운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GM 역시 채권단,노조,딜러 등 이해관계자들 간 의견 조정이 어려워 파산보호 신청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GM도 채권단 양보가 관건크라이슬러와 마찬가지로 GM도 270억달러의 무보증채를 갖고 있는 채권단의 양보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파산보호 신청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GM이 미 정부와의 조율을 통해 최근 마련한 최종 자구안에 따르면 GM은 무보증채의 90% 이상을 새로 출범하는 '뉴 GM'의 지분 10%와 교환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프리츠 헨더슨 GM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GM이 파산보호 신청을 피하려면 채권단의 90%가 출자전환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채권단의 양보가 없으면 파산보호 신청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GM의 자구안이 노조에 비해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마련됐다며 출자전환을 통해 '뉴 GM'의 지분 51%를 갖게 해줄 것을 정부와 회사 측에 역제안했다.

또 GM이 파산보호 신청없이 딜러 구조조정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적지 않다. GM은 현재 6246곳인 딜러를 내년 말까지 3605곳으로 줄일 계획이다. 다만 노조와의 협상은 크라이슬러 사례에 비춰볼 때 정부가 고용 및 연금 등 복지혜택을 최대한 보장하면 원만히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 크라이슬러에 이어 GM이 파산보호 신청에 들어가면 미 자동차 산업의 입지는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미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GM 19.5% △도요타 16.3% △포드 14.1% △크라이슬러 11.2% 순이었다. ◆불투명한 크라이슬러 앞날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나서 "크라이슬러가 신속파산 절차를 통해 1~2개월 내 강하고 경쟁력있는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지만 회사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정부는 피아트와의 제휴를 통해 크라이슬러 회생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40억달러의 구제금융에 더해 최대 80억달러를 투입키로 했다.

또 부품 공급망 붕괴를 막기 위해 부품사에 대한 자금 지원에 돌입했다. 하지만 법원의 신속 파산절차가 일부 채권단의 반발로 늦춰질 경우 부품사들의 줄파산이 불가피하다. 또 55%,35%씩 지분을 갖게 되는 노조와 피아트가 효율적으로 공동 경영을 할 수 있을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포천지는 크라이슬러와 피아트 간 문화차이로 제휴 시너지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여기에 친환경 고효율 자동차 생산을 요구하는 정부의 간섭까지 감안하면 크라이슬러 새 경영진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