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던 '알몸 투시안경' 국내에서도 유통
입력
수정
사람의 옷 속을 훤히 볼 수 있다는 광고로 화제를 몰고 온 '중국산 투시안경'이 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국내에 유통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 포털검색사이트에 따르면 중국에 본사를 둔 한 기업이 최근 한국어로 된 인터넷 쇼핑몰을 개설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투시율 100%, 불만족시 즉시 환불!'이라는 문구와 함께 투시된 여성들의 알몸 사진들이 게재된 이 웹사이트에서는 선글라스형과 안경형, 뿔테형 등 3가지 투시안경이 개당 18만~25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전국의 늑대들을 위한 희소식'이라는 자극적인 문구로 선전중인 이 쇼핑몰은 14일 현재까지 구매자가 모두 800여명이라고 사이트에 게시해 놓고 있다. 게시판에는 제품을 주문했거나 이미 입금을 완료했다는 글도 하루 20여건 가까이 올라오고 있다.
'누드 글라스'로 이름 붙여진 이 투시안경은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특수 필터를 통해 옷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은 차단하고 피부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인식하도록 하는 원리로 작동한다고 쇼핑몰은 주장했다.제품 소개란에는 투시안경으로 면제품은 투시되지 않지만 수영복 같은 나일론 재질은 75%까지 투시가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중국산 투시안경의 온라인 국내 판매 소식이 알려지면서 각종 검색사이트에서 '투시안경' 등이 실시간 검색순위 상위에 랭크되고 있다.
투시안경을 배달받아 사용해 봤다는 한 네티즌은 "여름이라 얇은 옷이 많아서 가슴은 확실히 보이지만 치마가 조금이라도 두꺼우면 안보인다"는 사용후기를 올려놓기도 했다.그러나 전문가들은 투시 안경의 기능과 효과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한 전문가는 "이론적으로 가능하고 미래에 이런 기술이 실용화될 수도 있겠지만, 지금으로선 관음증 욕망을 이용하려는 상술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투시안경의 국내 상륙 소식에 일부 누리꾼(네티즌)들은 큰 우려를 나타내며 당국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