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존엄사 집행…오늘 오전 10시 21분 세브란스병원서
입력
수정
국내 처음으로 존엄사가 공식적으로 집행됐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23일 오전 10시 21분 국내 처음으로 존엄사를 공식 집행했다.이날 존엄사 집행은 호흡기내과 주치의 박무석 교수가 식물인간 상태로 연명해 온 김 모씨(77·여)의 인공호흡기를 인위적으로 떼어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아직 까지 김 씨의 사망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 씨가 식물인간 상태로 지낸 지 1년 4개월 만이고, 지난해 11월 28일 1심 법원이 국내 처음으로 연명치료 중단요청을 받아들인 지 7개월여만의 일이다.
병원 측은 가족과의 합의에 따라 환자가 입원 중인 병실 출입을 막고 인공호흡기를 떼는 과정도 공개하지 않았다. 단, 가족 측이 동행하는 언론사 기자에 대해서는 임종예배만 취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참관인으로는 가족과 의료진, 법원 관계자 등이 입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김 씨의 인공호흡기를 떼어내면 오래 지나지 않아 사망선고가 내려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씨의 시신은 부검을 거쳐 영안실에 안치될 계획이다.
부검을 하는 것은 김 씨가 의료진의 과실로 식물인간 상태가 됐다면서 가족들이 지난 3월 별도의 민사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김 씨는 지난해 2월 폐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검사를 받다 과다 출혈로 인한 뇌손상으로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23일 오전 10시 21분 국내 처음으로 존엄사를 공식 집행했다.이날 존엄사 집행은 호흡기내과 주치의 박무석 교수가 식물인간 상태로 연명해 온 김 모씨(77·여)의 인공호흡기를 인위적으로 떼어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아직 까지 김 씨의 사망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 씨가 식물인간 상태로 지낸 지 1년 4개월 만이고, 지난해 11월 28일 1심 법원이 국내 처음으로 연명치료 중단요청을 받아들인 지 7개월여만의 일이다.
병원 측은 가족과의 합의에 따라 환자가 입원 중인 병실 출입을 막고 인공호흡기를 떼는 과정도 공개하지 않았다. 단, 가족 측이 동행하는 언론사 기자에 대해서는 임종예배만 취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참관인으로는 가족과 의료진, 법원 관계자 등이 입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김 씨의 인공호흡기를 떼어내면 오래 지나지 않아 사망선고가 내려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씨의 시신은 부검을 거쳐 영안실에 안치될 계획이다.
부검을 하는 것은 김 씨가 의료진의 과실로 식물인간 상태가 됐다면서 가족들이 지난 3월 별도의 민사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김 씨는 지난해 2월 폐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검사를 받다 과다 출혈로 인한 뇌손상으로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