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모래알당' 이유 있네
입력
수정
친이계 내부에만 7개파…친박은 일단 단일대오 구축한나라당이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위기의 핵심은 계파 갈등이다. 친이와 친박이 화학적 결합에 실패하면서 당내에서조차 두 나라당,세 나라당이라는 자조가 나오고 있다. 안정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정국을 주도하지 못하는 모래알당이라는 비판을 듣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 불거진 조기전대 문제와 분당론도 계파정치의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계파간 득실·권력투쟁 충돌…"차라리 중립" 갈아타기 늘어
◆흩어지는 친이계
친이계의 분화는 총선 직후 불거진 친박(친박근혜) 복당 문제로 촉발됐다. 정권창출 당시 단일대오를 형성했던 친이계는 이상득 의원이 주도하는 '온건파'와 이재오 전 의원이 주도하는 강경파로 나뉘게 된다. 이들은 사안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의 관계 설정을 두고 각을 세웠다. 4월 재보선 참패는 친이계 분화의 불길에 기름을 끼얹었다. 박 전 대표의 지원없인 선거 참패가 뻔하다고 판단한 수도권 친이계 의원들이 당 쇄신을 주장하며 전면에 나선 것.대표적인 강경파인 정두언 권택기 김용태 임해규 차명진 의원 등 소위 '7인회의' 멤버들은 박 전 대표의 전면 등장을 촉구하며 기존 강경파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반면 강승규 조해진 김영우 의원 등 친이 직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48인회'와 친이계 초선의원들이 주축이 된 '선초회'는 최근 당내 쇄신논의가 '정권흔들기'의 성격이 짙다며 이들과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내홍을 거치면서 친이계는 7개 정도의 소계파로 나뉘어졌다.
◆커지는 중립지대기존 친이계 인사로 분류됐던 의원 중 10명 이상이 최근 중립지대로 옮겨간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런 현상이 총선대비용의 성격이 짙다고 보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새롭게 중립지대로 편입되고 있는 의원들의 대부분은 친이계"라면서 "친박계에서 중립지대로 옮겨간 의원은 단 한 명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가까이는 내년 지방선거,멀게는 다음 총선에서 박 전 대표의 역할을 의식한 움직임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재선을 목숨처럼 여기는 여의도 정치의 습성상 중립지대 의원들이 공천 문제 등이 불거지면 친박진영으로 대거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간 떠돌던 주이야박(晝李夜朴 · 낮에는 친이계,밤에는 친박계)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친박은 여전히 단일대오친박계는 여전히 공고한 전선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 '원내대표 추대' 문제로 박 전 대표와 김무성 의원 간의 불화가 표면화되기도 했지만 화해로 일단락된 모양새다. 친박계 내부에서도 어느 정도 '라인'이 존재하지만 이는 권력투쟁을 위한 분화가 아닌 참모진과 비서진 등 친박 내 역할과 임무에 따른 분화의 성격이 짙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