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호주, 4번째 우라늄광산 개발 허가…기대수익 연 1600억원
입력
수정
호주 정부가 4번째로 우라늄광산 개발을 허가했다.
15일 호주 일간지 시드니모닝헤럴드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피터 개러트 호주 연방정부 환경부장관은 남호주주 북동쪽 카사르리소시스 소유 포마일우라늄광산 개발을 허가했다고 밝혔다.포마일우라늄광산에서는 내년 1월부터 약 10년 동안 연 300만 파운드의 산화우라늄이 생산될 예정이다. 연간 기대수익은 1억5700만 호주달러(약 1600억원)다. 개러트 장관은 지난해에도 이 광산에서 약 10km 떨어진 비버리광산의 확장 계획을 허가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회의를 거쳐 그간 3개로 제한해 온 '우라늄 광산 정책'을 폐기하고 포마일우라늄광산의 개발계획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호주는 총 4개의 광산에서 우라늄을 생산하게 됐다.
개러트 장관은 "포마일우라늄광산 개발 승인은 엄격하고 포괄적인 평가 끝에 내린 결정으로, 환경에 아무런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광산개발이 끝난 후에도 사후관리를 잘 하겠다"고 말했다.케빈 러드 호주 총리는 이와 관련, "정부는 모든 것을 투명하게 처리했다"며 "노동당 정부도 새로운 우라늄광산 개발반대 입장을 철회한 바 있다"고 전했다.
호주우라늄협회(AUA)는 "정부의 우라늄광산 개발 허가를 환영한다"며 "포마일우라늄광산이 내년부터 우라늄을 생산하게 되면 기후변화 문제에 더욱 신경을 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와 중국, 인도가 상업용 원자력 개발을 목적으로 호주산 우라늄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호주 정부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비가맹국인 인도에 대해서는 종전대로 우라늄을 판매하지 않을 방침이다.전세계 우라늄 매장량의 40%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호주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35개 이사국의 일원으로, 지금까지 총 36개국에 우라늄을 판매하고 있다.
한경닷컴 이진석 기자 gen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5일 호주 일간지 시드니모닝헤럴드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피터 개러트 호주 연방정부 환경부장관은 남호주주 북동쪽 카사르리소시스 소유 포마일우라늄광산 개발을 허가했다고 밝혔다.포마일우라늄광산에서는 내년 1월부터 약 10년 동안 연 300만 파운드의 산화우라늄이 생산될 예정이다. 연간 기대수익은 1억5700만 호주달러(약 1600억원)다. 개러트 장관은 지난해에도 이 광산에서 약 10km 떨어진 비버리광산의 확장 계획을 허가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회의를 거쳐 그간 3개로 제한해 온 '우라늄 광산 정책'을 폐기하고 포마일우라늄광산의 개발계획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호주는 총 4개의 광산에서 우라늄을 생산하게 됐다.
개러트 장관은 "포마일우라늄광산 개발 승인은 엄격하고 포괄적인 평가 끝에 내린 결정으로, 환경에 아무런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광산개발이 끝난 후에도 사후관리를 잘 하겠다"고 말했다.케빈 러드 호주 총리는 이와 관련, "정부는 모든 것을 투명하게 처리했다"며 "노동당 정부도 새로운 우라늄광산 개발반대 입장을 철회한 바 있다"고 전했다.
호주우라늄협회(AUA)는 "정부의 우라늄광산 개발 허가를 환영한다"며 "포마일우라늄광산이 내년부터 우라늄을 생산하게 되면 기후변화 문제에 더욱 신경을 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와 중국, 인도가 상업용 원자력 개발을 목적으로 호주산 우라늄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호주 정부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비가맹국인 인도에 대해서는 종전대로 우라늄을 판매하지 않을 방침이다.전세계 우라늄 매장량의 40%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호주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35개 이사국의 일원으로, 지금까지 총 36개국에 우라늄을 판매하고 있다.
한경닷컴 이진석 기자 gen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