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대파 값 강세…장마 영향, 출하 감소
입력
수정
전국적인 장마의 영향으로 채소 과일 등 농산물 가격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비 때문에 품질이 나빠지고 출하량이 감소한 채소는 가격이 올랐지만, 과일의 경우 수박과 포도의 출하량이 늘면서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출하량에 큰 변화가 없는 채소는 보합세를 보였다.23일 농협 하나로클럽 양재점에 따르면 배추(포기)는 국지성 호우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줄고 산지별로 품질 차이를 보여 전주보다 10.3%(150원) 오른 1600원에 거래됐다.
대파(단)도 남부 지방의 장마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출하량이 감소해 전주보다 18.8%(300원) 오른 1900원에 팔렸다.
무(개)는 집중 호우 이후 일정량의 출하량을 유지하면서 전주보다 5.0%(50원) 내린 950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양파(3kg)는 출하량과 소비량에 큰 변동이 없어 전주와 동일한 3500원에 거래됐다.감자(1kg)는 출하 주요 산지가 강원도로 바뀌고 출하량이 일정해지면서 시세는 전주와 동일한 1400원이었으며, 고구마(1kg)도 전주와 같은 4000원을 기록했다.
저장상품인 사과(6개·부사)는 전주와 같은 4900원에, 배(10개·신고)는 전주보다 9.2%(3000원) 오른 3만5500원에 팔렸다.
대표 여름과일인 참외(3kg)는 출하량이 감소해 전주보다 26.9% 오른 9900원에 거래됐다. 수박(10kg)은 주요 출하산지가 충청, 전라권역으로 바뀌고 출하량이 늘면서 전주보다 12.1%(2000원) 내린 1만4500원을 기록했다.
포도(1.5kg·캠벨)도 출하량이 꾸준히 증가해 전주보다 20.7%(3000원) 내린 1만1500원에 팔렸다.
돼지고기, 닭고기 등 축산물 가격은 소비촉진을 위해 할인행사가 진행되면서 보합세를 보였다.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비 때문에 품질이 나빠지고 출하량이 감소한 채소는 가격이 올랐지만, 과일의 경우 수박과 포도의 출하량이 늘면서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출하량에 큰 변화가 없는 채소는 보합세를 보였다.23일 농협 하나로클럽 양재점에 따르면 배추(포기)는 국지성 호우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줄고 산지별로 품질 차이를 보여 전주보다 10.3%(150원) 오른 1600원에 거래됐다.
대파(단)도 남부 지방의 장마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출하량이 감소해 전주보다 18.8%(300원) 오른 1900원에 팔렸다.
무(개)는 집중 호우 이후 일정량의 출하량을 유지하면서 전주보다 5.0%(50원) 내린 950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양파(3kg)는 출하량과 소비량에 큰 변동이 없어 전주와 동일한 3500원에 거래됐다.감자(1kg)는 출하 주요 산지가 강원도로 바뀌고 출하량이 일정해지면서 시세는 전주와 동일한 1400원이었으며, 고구마(1kg)도 전주와 같은 4000원을 기록했다.
저장상품인 사과(6개·부사)는 전주와 같은 4900원에, 배(10개·신고)는 전주보다 9.2%(3000원) 오른 3만5500원에 팔렸다.
대표 여름과일인 참외(3kg)는 출하량이 감소해 전주보다 26.9% 오른 9900원에 거래됐다. 수박(10kg)은 주요 출하산지가 충청, 전라권역으로 바뀌고 출하량이 늘면서 전주보다 12.1%(2000원) 내린 1만4500원을 기록했다.
포도(1.5kg·캠벨)도 출하량이 꾸준히 증가해 전주보다 20.7%(3000원) 내린 1만1500원에 팔렸다.
돼지고기, 닭고기 등 축산물 가격은 소비촉진을 위해 할인행사가 진행되면서 보합세를 보였다.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