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국내 철스크랩 가격 하락세…수입량은 늘어
입력
수정
국내 철스크랩(고철) 가격이 지속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스크랩 가격은 수입량 증가와 철강재의 가격 인하, 형강의 내수부진 영향 등으로 지난 4월부터 3개월 째 구매가격이 하락하며 지속적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국산 철스크랩 가격은 중량A 기준 t당 32만5000원 선으로, 지난 4월 최고가였던 37만원에 비해 13%가량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HMS No.1 가격도 t당 255달러(약 31만7000원·1$/1245원 기준)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여전히 해외 가격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하락세가 연동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국내 수급실적을 보면 지난 3월 공급량은 전월대비 6.3% 늘어난 205만5000t를 기록했다. 국내산 구입은 전월대비 4.6% 감소한 반면, 수입량은 36.1% 급등했다. 수입산 가격이 국내산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다.
한국으로 철스크랩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인 일본의 내수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관동지역에서 H2기준 내수가격은 전월대비 약 2000엔 상승한 t당 2만엔 선으로, 중국과 한국으로의 수출 증가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지난 3월 일본의 철스크랩 수출은 전월대비 8.1% 증가한 89만8000t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 수입국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바뀌면서 수출량이 매월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중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기호조로 철스크랩 소비·비축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월대비 155.7% 급증한 22만5000t을 기록했다. 국내시황의 불안정과 미국산 철스크랩 가격하락이 계속된 것이 주된 이유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4월 러시아의 철스크랩 수출 제한 조치 영향으로 러시아산 수입은 감소할 전망이다.
한경닷컴 이진석 기자 gen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스크랩 가격은 수입량 증가와 철강재의 가격 인하, 형강의 내수부진 영향 등으로 지난 4월부터 3개월 째 구매가격이 하락하며 지속적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국산 철스크랩 가격은 중량A 기준 t당 32만5000원 선으로, 지난 4월 최고가였던 37만원에 비해 13%가량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HMS No.1 가격도 t당 255달러(약 31만7000원·1$/1245원 기준)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여전히 해외 가격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하락세가 연동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국내 수급실적을 보면 지난 3월 공급량은 전월대비 6.3% 늘어난 205만5000t를 기록했다. 국내산 구입은 전월대비 4.6% 감소한 반면, 수입량은 36.1% 급등했다. 수입산 가격이 국내산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다.
한국으로 철스크랩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인 일본의 내수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관동지역에서 H2기준 내수가격은 전월대비 약 2000엔 상승한 t당 2만엔 선으로, 중국과 한국으로의 수출 증가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지난 3월 일본의 철스크랩 수출은 전월대비 8.1% 증가한 89만8000t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 수입국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바뀌면서 수출량이 매월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중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기호조로 철스크랩 소비·비축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월대비 155.7% 급증한 22만5000t을 기록했다. 국내시황의 불안정과 미국산 철스크랩 가격하락이 계속된 것이 주된 이유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4월 러시아의 철스크랩 수출 제한 조치 영향으로 러시아산 수입은 감소할 전망이다.
한경닷컴 이진석 기자 gen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