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Growth Korea] (4) 한국도 자전거 활성화 한다지만…

도로환경 열악… 보관소도 태부족
정부는 4일 '국가 온실가스 중기 감축 목표 설정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저탄소 녹색교통 확대를 주요 실행과제로 내걸었다. 전기차 등 저탄소 · 고연비 자동차를 확대하고 자전거 등 녹색교통 수단을 확충하겠다는 게 골자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자전거 타기 바람몰이를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지만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걸림돌은 많다. 도로 사정이 만만치 않다. 주차장도 적다. 자전거를 타고 싶어도 쉽지 않은 여건이다. 자전거 이용이 일상화된 유럽과는 천양지차다. 자전거 보급률이 98.3%에 달하는 네덜란드에서는 곳곳에 자전거 도로가 잘 갖춰져 있다. 갈림길마다엔 자전거를 위한 신호등이 세워져 있다. 자전거 도로에서 사람과 자전거가 부딪쳤을 때 사람 책임이 더 클 정도로 자전거의 권익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이 27%에 이를 정도로 높다. 유럽 자전거 문화의 원조로 꼽히는 덴마크도 마찬가지다. 인도와 차도 사이엔 대부분 자전거 전용도로가 깔려 있다. 지하철엔 자전거와 함께 탈 수 있는 전용칸도 마련돼 있다. 덴마크 어린이들은 만 3살이 되면 유치원에서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운다. 자동차의 '깜박이'처럼 손으로 가고자 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교육도 받는다. 그러다보니 코펜하겐 시내의 자전거는 56만대로 전체 시민숫자(51만9000명)보다 많다.

독일의 자전거 인프라도 빼어나다. 남부 친환경도시 프라이부르크는 시내 모든 주택가의 차량운행 속도를 시속 30㎞로 제한하고 있다. 도심 중심부에는 무료 주차장을 없앴다. 상당수 주차장 부지는 자전거 주차장으로 전환했다. 자전거타기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중앙역에 있는 '모빌레'라는 자전거주차장은 1000대의 자전거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자전거 인프라는 열악하기 짝이 없다. 자전거 도로는 총 9550㎞로 일본(7만9000㎞)의 8분의 1에 불과하다. 영국이나 독일 등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도 3분의 1~5분의 1 수준이다. 그나마 전용도로는 1011㎞뿐이다. 나머지는 차도,인도 등에 자전거 표시를 해 겸용으로 타도록 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자전거 사고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는 2003년 6007건에서 지난해 1만848건으로 늘었다. 자전거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253명에서 313명으로 증가했다. 자전거 보관소도 부족하다. 전국에 1만3000여곳의 자전거 보관소가 있긴 하다. 그렇지만 관리인이 있는 곳이 없어 도난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