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이 어려운 살림에도 사는 종목 관심"

주식형 펀드 환매 지속으로 매수여력이 부족한 기관이 어려운 살림에서도 아끼지 않고 사는 종목이 있다면 얼마나 괜찮은 종목일까?

황금단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7일 "현 장세의 주도세력이 외국인이라고 본다면 외국인들의 매매를 주시하는 게 당연하지만 기관의 매수 종목도 챙겨본다면 가끔 기분 좋은 선물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실제로 외국인 매수, 기관 매도가 뚜렷했던 지난 4~7월 외국인 순매수 상위 10종목의 수익률은 평균 35.1%이었지만 기관의 순매수 상위 10종 목의 수익률은 평균 54.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 29.1%를 크게 웃도는 것.


기관이 수급을 장악했던 2005년 당시에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다. 외국인들이 계속 국내 주식을 파는 와중에도 사는 종목이 있었고 그 종목들의 평균 수익률이 심심치 않게 괜찮았다. 2005년 코스피 상승률은 54.0%, 기관 순매수 상위 10종목 상승률은 86.6%, 외국인 순매수 상위 10종목 상승률은 125.1%를 기록했다.

황 위원은 이 같은 현상이 빚어지는 이유에 대해 "주도세력은 대규모 매수로 주식을 거둬들이지 않을 수 없고 그러다 보니 시가총액이 큰 인덱스 비중대로 주식을 매수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최근 일주일 간 투신의 매수 상위 종목 중에는 대우증권, GS, 대림산업, 동부화재, 고려아연, 한솔제지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