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해운대' 흥행돌풍 타고 강세
입력
수정
대작 영화들이 여름 흥행을 이어가는 가운데 극장 체인인 CJ CGV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하반기 수익성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 덕분이다.
CJ CGV는 11일 7.88% 오른 2만19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장중엔 12.32%까지 급등하며 지난 1년 사이 최고가인 2만28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달 들어 '해운대' '국가대표' 등 한국영화 대작들이 잇따라 흥행몰이에 나서며 수익성 개선이 기대됐기 때문이다. 최훈 KB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이날 "이달 들어 지난 9일까지 전국 영화관람객이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하는 동안 CJ CGV의 관람객은 25.0% 늘어나며 시장성장률을 웃돌았다"면서 "올 상반기 극장수를 늘리며 관객 집객력이 증가한 덕"이라고 진단했다. 지난달 초부터 적용된 티켓가격 인상 효과도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최 연구원은 "3분기 영업이익률은 작년에 비해 3.5%포인트 상승한 25.1%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케일이 큰 재난 영화 등 대작들이 인기를 모으면서 가격 인상에 대한 관객들의 거부감이 자연스레 줄었다는 진단도 나온다.
그동안 주가의 발목을 잡아왔던 그룹의 온미디어 인수 계획은 우려가 지나치다는 평가다. 한익희 현대증권 연구원은 "인수 및 인수 자금 분담 여부 등에 대해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CJ CGV에 부담이 되는 수준으로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개입찰이 진행 중인 메가박스와 관련해선 인수후보군과 맥쿼리 펀드 간 입장 차이가 크고 아직 초기단계라 주가에 영향을 끼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CJ CGV는 11일 7.88% 오른 2만19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장중엔 12.32%까지 급등하며 지난 1년 사이 최고가인 2만28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달 들어 '해운대' '국가대표' 등 한국영화 대작들이 잇따라 흥행몰이에 나서며 수익성 개선이 기대됐기 때문이다. 최훈 KB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이날 "이달 들어 지난 9일까지 전국 영화관람객이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하는 동안 CJ CGV의 관람객은 25.0% 늘어나며 시장성장률을 웃돌았다"면서 "올 상반기 극장수를 늘리며 관객 집객력이 증가한 덕"이라고 진단했다. 지난달 초부터 적용된 티켓가격 인상 효과도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최 연구원은 "3분기 영업이익률은 작년에 비해 3.5%포인트 상승한 25.1%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케일이 큰 재난 영화 등 대작들이 인기를 모으면서 가격 인상에 대한 관객들의 거부감이 자연스레 줄었다는 진단도 나온다.
그동안 주가의 발목을 잡아왔던 그룹의 온미디어 인수 계획은 우려가 지나치다는 평가다. 한익희 현대증권 연구원은 "인수 및 인수 자금 분담 여부 등에 대해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CJ CGV에 부담이 되는 수준으로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개입찰이 진행 중인 메가박스와 관련해선 인수후보군과 맥쿼리 펀드 간 입장 차이가 크고 아직 초기단계라 주가에 영향을 끼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