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민감할 필요없어…상승추세 변화無"
입력
수정
증시 상승추세의 근본적인 원인에 변화가 없어 중국 증시의 조정에 민감할 필요가 없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21일 "이번주 코스피 지수는 하루 하락하면 그 다음날은 상승하는 전형적인 지그재그 패턴을 그리고 있지만 EMBI스프레드와 달러화지수는 여전히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원은 "이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라며 "또한 국내 증시와의 상관성이 높은 중국 증시가 피보나치 되돌림 지수대인 38.2% 부근에서 상승 전환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과 국내 증시의 관계는 방향성 측면에서는 연동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만 중국 증시의 하락(상승)에 대해서 실질적으로는 국내 증시가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상승 추세가 형성되고 그 추세 형성에 근간(뿌리)되는 부문에 변함이 없다면 추세는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첫째, 경기의 회복이다. 과거 국내 경기선행지수 회복.확장 구간에서 월 평균 경기선행지수 상승률(YoY)은 8.1%p다. 2008년 12월 이후 현재 까지는 월 평균 10.2%p로, 강도가 높은 수준이다.
둘째, 투자매력도의 개선과 지속이다. 성장률-할인률 갭은 현재 26%p로 7개월 연속 확대되고 있다. 일드갭(Yield Gap)도 현재 1996년 이후 평균치인 3.7%p에 비해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셋째, 국내 기업 규모의 확대이다. 09년 2분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글로벌 핸드셋 점유율은 30%로 노키아와의 점유율 갭이 4분기 연속 축소됐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북미+EU시장 점유율도 5.3%로, 도요타와의 점유율 갭이 2001년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이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여전히 중국이라는 외부적인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현재 수익률 기준으로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상승 추세의 근간에 있는 △국내와 미국의 경기 회복 △국내 증시의 투자매력도 개선 △국내 기업 규모의 확대 등이 국내 증시의 버팀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21일 "이번주 코스피 지수는 하루 하락하면 그 다음날은 상승하는 전형적인 지그재그 패턴을 그리고 있지만 EMBI스프레드와 달러화지수는 여전히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원은 "이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라며 "또한 국내 증시와의 상관성이 높은 중국 증시가 피보나치 되돌림 지수대인 38.2% 부근에서 상승 전환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과 국내 증시의 관계는 방향성 측면에서는 연동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만 중국 증시의 하락(상승)에 대해서 실질적으로는 국내 증시가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상승 추세가 형성되고 그 추세 형성에 근간(뿌리)되는 부문에 변함이 없다면 추세는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첫째, 경기의 회복이다. 과거 국내 경기선행지수 회복.확장 구간에서 월 평균 경기선행지수 상승률(YoY)은 8.1%p다. 2008년 12월 이후 현재 까지는 월 평균 10.2%p로, 강도가 높은 수준이다.
둘째, 투자매력도의 개선과 지속이다. 성장률-할인률 갭은 현재 26%p로 7개월 연속 확대되고 있다. 일드갭(Yield Gap)도 현재 1996년 이후 평균치인 3.7%p에 비해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셋째, 국내 기업 규모의 확대이다. 09년 2분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글로벌 핸드셋 점유율은 30%로 노키아와의 점유율 갭이 4분기 연속 축소됐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북미+EU시장 점유율도 5.3%로, 도요타와의 점유율 갭이 2001년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이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여전히 중국이라는 외부적인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현재 수익률 기준으로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상승 추세의 근간에 있는 △국내와 미국의 경기 회복 △국내 증시의 투자매력도 개선 △국내 기업 규모의 확대 등이 국내 증시의 버팀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