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MB 2기 내각, 경제위기극복 성공적 마무리를

정운찬 서울대 교수가 국무총리에 내정됨에 따라 이명박정부 2기 내각이 새로 출범하게 됐다. 평균연령이 50대로 낮아져 한층 젊어진 새 내각이 사회 변화와 공직 등 공공부문 개혁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이를 기반으로 한 고비는 넘긴 것으로도 보이는 경제위기 극복의 뒷 과정을 순조롭게 마무리짓고,나아가 우리경제가 한 단계 비약할 수 있는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데도 매진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또 최근 정부가 내세워온 중도실용 및 친서민 기조의 정책을 무리없이 실행해나가야 하는 것도 과제다.

총리 인선과정에서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화합과 통합,소통을 내세우며 이런저런 논란도 있었지만 행정 전반을 챙겨야 하는 총리에 대학에서 주로 활동해온 정통 경제학자가 기용됐다는 점에 주목한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아직 남아있는 상황에서 비정규직 등 노동 · 고용 문제를 비롯해 기업과 금융의 구조조정,서민지원과 중산층 육성 등 산적(山積)한 경제현안이 최우선적으로 감안된 인사라고 본다. 그런 점에서 여론은 내각 내부의 소통과 화합,일관성에 안정감 있는 정책의 실현 여부부터 주시할 것이다. 가뜩이나 최근 청와대 개편에서 경제특보가 신설됐고 경제수석은 직급이 올라간 정책실장까지 겸하게 돼 경제부처와 화합 여부에 주목하는 시각이 분명히 있다. 또 거시경제 · 금융쪽은 장관 교체자가 없는 상황에서 정치권의 현직 의원들이 실물경제 총괄부처와 노동부를 새로 맡게 됐다. 어느 한쪽에서라도 독주를 하거나 긴장을 늦추면 청와대 따로,총리 따로,부처 따로의 제각각에 사공만 많아지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 더구나 이 대통령의 임기나 향후 선거일정 등을 감안할 때 이제부터 청와대가 각종 개혁정책에 적극 나설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총리의 역할은 매우 가변적(可變的)이라고 보는게 현실적이다. 행정경험이 다소 부족한 정 내정자가 귀를 기울여야 할 지적이다.

그간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했던 정부 · 여당간 소통의 문제도 2기 내각에서는 확실하게 극복해야만 한다. 당 · 정간에 수시로 엇박자를 내면서 국민들과 소통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번에는 3명의 장관이 한나라당에서 기용된데다 특히 특임장관직까지 신설해 이 대통령의 '측근'이 기용된 만큼 여당을 넘어 야당과도 원만하게 소통하길 바란다. 이번 정기국회에서 다뤄야 할 각종 민생현안의 원만한 처리는 이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정치 총리가 아니라 경제 총리가 기용됨에 따라 MB정부 2기 내각은 실무형 · 행정형이라고 볼 수 있다. 화합과 소통,경제위기 극복 만이 아니라 2차 핵실험 강행 이후 남북경협 문제 등 대북관계 개선,반세기 만에 정권이 교체된 일본과의 관계 등 대외 현안도 실용적 관점에서 잘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