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통요금 인하 경쟁확대가 근본 해법이다
입력
수정
이동통신 요금을 둘러싼 논란이 거세지면서 어제 국회에서는 '이동통신요금 적정한가'라는 주제로 여야합동토론회가 열렸다. 소비자라면 요금인하를 반대할리 없지만 우려되는 것은 요금인하 방안들 중 대부분이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규제조치의 부활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다분하다는 점이다. 과연 정부개입이나 반시장적 조치가 요금인하의 근본적이고도 지속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우리로서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이날 국회 토론에서 가장 논란이 됐던 것은 이동통신사의 영업초과이익을 정부가 흡수하자는 주장이었다. 지난 2001년 이후 이동통신사들의 영업초과이익이 막대하다는 이유에서다. 일견 그럴 듯하게 들릴지 몰라도 영업초과이익을 요금인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성은 둘째 치더라도, 이런 식의 논리를 펴기 시작하면 이는 기업경영 활동의 동기 자체를 부인하는 꼴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요금인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이런 주장보다는 망을 소유하지 않고도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가상이통사업자(MVNO)를 제대로 활성화하자는 제안에 우리는 더 주목하고 싶다. 이날 권황섭 한국MVNO사업협의회장은 적정한 망 임대비용만 보장되면 최대 30% 이상 요금인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그런 사례가 있다. 문제는 정부의 MVNO 활성화 의지가 과연 어느정도냐 하는 것이다.
요금을 근본적으로 인하시키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경쟁을 제대로 촉진하는 것이다. 그래야 지속적인 요금인하도 기대할 수 있다. 정부는 선불요금제 도입, 결합상품 강화, 데이터요금제 개선 등으로 요금인하를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고착화되다시피한 지금의 시장구도가 달라지지 않는 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경쟁환경부터 확실하게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소모적 요금논란을 거듭하지 않으려면 신뢰할 만한 요금비교와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일도 서둘러야 한다.
이날 국회 토론에서 가장 논란이 됐던 것은 이동통신사의 영업초과이익을 정부가 흡수하자는 주장이었다. 지난 2001년 이후 이동통신사들의 영업초과이익이 막대하다는 이유에서다. 일견 그럴 듯하게 들릴지 몰라도 영업초과이익을 요금인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성은 둘째 치더라도, 이런 식의 논리를 펴기 시작하면 이는 기업경영 활동의 동기 자체를 부인하는 꼴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요금인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이런 주장보다는 망을 소유하지 않고도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가상이통사업자(MVNO)를 제대로 활성화하자는 제안에 우리는 더 주목하고 싶다. 이날 권황섭 한국MVNO사업협의회장은 적정한 망 임대비용만 보장되면 최대 30% 이상 요금인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그런 사례가 있다. 문제는 정부의 MVNO 활성화 의지가 과연 어느정도냐 하는 것이다.
요금을 근본적으로 인하시키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경쟁을 제대로 촉진하는 것이다. 그래야 지속적인 요금인하도 기대할 수 있다. 정부는 선불요금제 도입, 결합상품 강화, 데이터요금제 개선 등으로 요금인하를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고착화되다시피한 지금의 시장구도가 달라지지 않는 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경쟁환경부터 확실하게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소모적 요금논란을 거듭하지 않으려면 신뢰할 만한 요금비교와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일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