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경기 회복 국제공조방안 모색을

이명박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는 기후변화 정상회의와 유엔총회, 그리고 피츠버그에서 열리는 제3차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어제 출국했다.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저탄소 녹색성장 등이 논의되고, 유엔총회에서는 이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글로벌 코리아'의 비전과 정책을 천명할 예정으로 있다. 또 G20 정상회의는 세계경제를 진단하고 국제공조를 논의한다. 세 가지 모두 우리로선 중요한 자리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오는 24일 열리는 G20 정상회의다. 세계경제가 회복기미를 보이면서 각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이른바 출구전략이 언급될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들로 미뤄보면 G20 정상들이 어떤 형태로든 출구전략에 대한 성명을 조율키로 합의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사실 정상회의에 앞서 이달 초 열렸던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출구전략에 대한 합의는 어느정도 가닥이 잡힌 상태다. 당시 재무장관들은 출구전략에 대한 준비는 필요하지만 아직 시행을 언급할 단계는 아니란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그 때와 지금의 경제상황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고 보면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도 이런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공산이 크다. 그 이유는 짐작할 만하다. 세계경제가 회복되고 있다지만 일각에서는 더블딥을 걱정할 정도로 아직도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확장적 재정정책과 금융완화 정책을 너무 빨리 거둬들이면 겨우 회복단계에 들어선 세계경제에 찬물을 끼엊는 결과가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강한 것이다. 그렇다고 위기시에 취했던 조치들을 너무 오래 끌고 가는 것도 피해야 할 시나리오다. 인플레이션 급등 등 또다시 버블을 초래(招來)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국의 고민이 여기에 있고, 우리 역시 마찬가지다.

중요한 것은 출구전략 타이밍에 맞춰 G20 정상회의가 위기국면에서처럼 국제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각국의 경기회복 속도에 따라 미묘한 입장차가 엿보이고, 누가 먼저 출구전략에 나설지 눈치를 보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 그러나 개별국가의 대응만으로는 그 효과도 의문이거니와 위험도 크다. 다시 한번 G20 정상회의의 리더십이 요청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