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기술상] (심사평) 문상흡 서울대교수, 국제경쟁력갖춘 '핵심기술'잇단 쾌거
입력
수정
한국산업 미래 밝아한국경제신문이 매년 국내에서 신기술 개발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한 사례를 발굴,해당 연구자와 소속기관에 수여하는 '다산기술상'이 올해로 제18회를 맞이했다.
올해는 이종기 에이케이켐텍 중앙연구소장이 대상을 받았다. 또 기술상 수상자로는 박강열 제일모직 케미칼연구소 수석연구원과 서승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이 각각 선정됐다. 박원룡 제이씨에스 상무는 장려상을 받았다. 대상을 받은 이 소장이 개발한 '기능성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제품으로 현재 생산품의 99%가 수출되고 있다. 일반 고흡수성 수지 제품보다 10배 이상 비싸며 일본의 경쟁사 제품보다도 약 2배의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2008년 생산품 중 거의 전량이 일본에 수출됐고 앞으로도 매출이 급속히 신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기술상을 받은 박 수석연구원은 '재생 PET를 활용한 ABS/PET Alloy System'을 개발,국내외 특허 8건을 포함해 다수의 국제인증을 받았다. 버려지는 PET병을 재활용해 전자제품 외장재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의 고분자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발생 및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라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또 다른 기술상 수상자인 서 수석연구원은 '한국형 틸팅 열차 및 인프라 시스템 개선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이 기술은 선로의 굴곡이 심한 지역에서도 차체를 옆으로 기울여 속도를 줄이지 않고 기차가 시속 200㎞의 설계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KTX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 주민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지역 간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힘든 경제 여건에서도 이와 같이 여러 핵심 기술을 개발해 그 성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사업을 성장시킨 수상자들의 업적은 다른 기업들에도 귀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국내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들이 개발되고 그 사업이 성공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상은 우리 산업의 미래가 매우 밝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다. 수상자들에게 축하를 드리며 그동안의 노고에 대해 깊은 경의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