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채권시장 활성화 상품 다양성에 달렸다
입력
수정
금융위원회가 어제 채권 유통시장 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채권 거래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채권거래 전용시스템을 구축하고, 채권 판매정보 시스템을 마련하며, 채권 딜러의 시장 조성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것 등이 주요 골자다. 공신력(公信力) 있는 채권거래 시스템을 통해 보다 다양한 채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겠다는 취지다.
이번 대책은 사실 시급하기 짝이 없는 사안이다. 국내 채권시장은 발행잔액이나 거래 규모 면 등에서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왔지만 채권거래의 80% 이상이 장외에서 이뤄질 뿐 아니라 그것도 대부분 사설 메신저에 의존하는 등 낙후성을 면치 못해왔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의 채권 거래 또한 전체 거래량의 0.5%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미국 유럽 등이 90년대 후반부터 대체거래시스템을 도입해 장외시장거래를 활성화하고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온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 국채가 미국 씨티그룹에서 운영하는 세계국채지수인 WGBI 선진국지수에 연내 편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을 생각하더라도 채권시장 활성화는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WGBI 선진국지수 편입이 성사되면 이 지수를 기준으로 투자활동을 벌이는 펀드들의 자금 100억~400억달러가량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채권시장이 잘 정비될수록 유입자금의 규모가 더 커질 것은 당연한 이치다. 채권 매입자금은 주식시장으로 밀려들어오는 핫머니와는 달리 장기투자 자금이라는 점에서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바도 커 매력적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시장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추가적 조치들도 적극 강구해나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특히 국고채 중장기물의 발행과 유통량을 늘리는 등 상품의 다양화를 이뤄내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3년물 국고채에만 과도하게 편중돼 있는 채권거래의 폭을 5년물, 10년물 등으로 넓힘으로써 채권거래의 기반을 확충함과 동시에 장기물을 선호하는 외국계 기관들의 자금유입도 촉진할 수 있는 까닭이다. 중장기물 거래가 늘어나면 채권지수 및 채권 ETF(상장지수펀드), 장단기물의 금리차를 이용한 파생상품 등도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대책은 사실 시급하기 짝이 없는 사안이다. 국내 채권시장은 발행잔액이나 거래 규모 면 등에서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왔지만 채권거래의 80% 이상이 장외에서 이뤄질 뿐 아니라 그것도 대부분 사설 메신저에 의존하는 등 낙후성을 면치 못해왔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의 채권 거래 또한 전체 거래량의 0.5%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미국 유럽 등이 90년대 후반부터 대체거래시스템을 도입해 장외시장거래를 활성화하고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온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 국채가 미국 씨티그룹에서 운영하는 세계국채지수인 WGBI 선진국지수에 연내 편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을 생각하더라도 채권시장 활성화는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WGBI 선진국지수 편입이 성사되면 이 지수를 기준으로 투자활동을 벌이는 펀드들의 자금 100억~400억달러가량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채권시장이 잘 정비될수록 유입자금의 규모가 더 커질 것은 당연한 이치다. 채권 매입자금은 주식시장으로 밀려들어오는 핫머니와는 달리 장기투자 자금이라는 점에서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바도 커 매력적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시장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추가적 조치들도 적극 강구해나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특히 국고채 중장기물의 발행과 유통량을 늘리는 등 상품의 다양화를 이뤄내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3년물 국고채에만 과도하게 편중돼 있는 채권거래의 폭을 5년물, 10년물 등으로 넓힘으로써 채권거래의 기반을 확충함과 동시에 장기물을 선호하는 외국계 기관들의 자금유입도 촉진할 수 있는 까닭이다. 중장기물 거래가 늘어나면 채권지수 및 채권 ETF(상장지수펀드), 장단기물의 금리차를 이용한 파생상품 등도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