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新섬유] (1) "탄소섬유 1g도 못만드는 한국…신섬유 투자 늘려야"
입력
수정
(1) 소재혁명 시작됐다"탄소섬유를 활용한 자동차를 만들지 않으면 수출 자체가 불가능한 시대가 조만간 닥칠 겁니다. 산업계 전반으로 파고들고 있는 신섬유 소재산업을 활성화하지 않고는 선진국 반열에 들 수 없습니다. "
강신재 전주기계탄소기술원장
강신재 전주기계탄소기술원 원장(사진)은 "섬유산업이 향후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주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신섬유는 자동차,항공기,우주선 등 거의 모든 산업에 빠른 속도로 적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단 1g의 탄소섬유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며 "유럽이나 일본처럼 산 · 학 · 연 · 관 차원에서 총력적으로 신섬유 소재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대하지 않는다면 선진국의 기술력에 계속 종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원장은 "탄소섬유 등 신섬유는 비행기나 자동차에 접목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등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환경 문제가 부각될수록 신섬유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강 원장은 단기성과 지향 위주의 국내 신섬유 소재 개발 풍토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털어놨다. 그는 "소재산업은 속성상 10년 이상의 중 · 장기적인 투자가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과제들은 2~3년짜리 단기 연구과제들이 태반이어서 소재산업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