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도국 원조 확대, 윈윈하는 전략 구사해야

우리나라는 오늘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특별회의에서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한다. 과거에는 원조를 받았다가 이제는 다른 국가를 원조하는 위치로 바뀐 우리나라가 국제사회로부터 원조 선진국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때마침 정부는 2015년까지 공적개발원조(ODA)를 현재의 3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리 되면 ODA 규모는 3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국민총소득(GNI) 대비 0.09%에 불과한 ODA 비중도 0.25%로 높아져 선진국의 0.3%에 근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조건없는(비구속성) 원조비율도 지금의 25%에서 75%로 높일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밖에서 한국 하면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뤘다고 놀라워하면서도 정작 저개발국들에 대한 원조에는 인색한 국가라는 평가가 적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진작 했어야 할 일이다. 더욱이 내년에 우리가 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세계적 이슈들을 다뤄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정부는 일단 무상원조와 관련해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의 빈국들을 대상으로 하되 점차 아프리카 쪽으로도 늘려 나간다는 계획이다. 무상원조 효과나 국가별 · 지역별 상황을 고려한 전략을 강구하겠다는 얘기다. 지원방식도 과거 우리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라든지 새마을운동 같은 빈곤탈출 경험을 전수하는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무작정 원조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고 보면 해당국이 빈곤에서 탈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빈곤의 고통을 겪었고, 또 그것을 극복한 경험을 가진 우리나라야말로 선진국과 빈국 간의 간극(間隙)을 메울 수 있는 중간자적 역할을 누구보다 잘할 수 있다고 본다.

어제 서울에서 열린 제2차 한 · 아프리카 포럼도 그런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금 우리나라 수출의 70%는 비선진국 지역들이다. 저개발국들이 성장할 수 있고, 또 그것이 우리의 성장에 도움이 되면 그것이 바로 선순환이고, 상생의 길이다. 빈국들에 대한 개발원조의 새로운 모델을 우리나라가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