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디젤에 대한 오해

오강현
세계 각국의 그린카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글로벌 자동차산업 판도는 물론 미래 국가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맞물리면서 그린카 개발과 보급은 국가 정책의 중요 아젠다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유럽,일본 등은 이미 세제 혜택,연비 기준 강화 등 그린카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우리 정부도 '그린카 4대강국'을 목표로 적극적인 육성 의지를 밝히고 있다. 바야흐로 소리없는 그린카 전쟁이다.

그린카란 무엇인가. 에너지를 적게 쓰고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차를 말한다. 연비가 좋고 이산화탄소(CO₂)등 환경 부하 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차로 정의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은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차,클린디젤차 등을 놓고 치열한 모색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그린카는 무엇일까.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전기차일까. 일본이 선점한 하이브리드차일까. 유럽에서 강세인 클린디젤차일까. 판단 기준은 무엇보다 국익이다. 기술경쟁력과 한정된 자원을 고려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차는 클린디젤차라고 본다. 품질이 대폭 좋아진 디젤이 경쟁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기차가 이상적일 수 있으나,배터리 기술과 인프라 구축 등 고비용 때문에 개발과 보급이 쉽지 않다. 하이브리드차는 일본이 핵심 기술을 선점해 경쟁력 우위 요소가 부족하다. 반면 우리의 디젤 엔진 개발 능력과 정유 기술력은 세계적 수준이며,에너지 수급과 저렴한 생산단가 등을 고려하면 종합적인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한때 환경오염의 대명사였던 디젤(경유)이 지금은 친환경 연료를 선도하고 있다. 디젤의 황 함유량은 10ppm으로 환경 선진국인 북유럽과 수위를 다투고 있다. CO₂배출량도 낮아졌고,후처리장치(DPF)의 기술개발과 보급 확대로 미세먼지도 급감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아직도 디젤이 대기오염의 주범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서울시는 얼마 전 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당 53㎍에서 2010년까지 49㎍으로 줄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디젤버스를 압축천연가스(CNG)버스로 교체한다고 발표했다. 미세먼지의 원인에 대해 논란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디젤버스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하는 듯해 매우 안타깝다.

다행히 디젤의 가치를 인정하는 의미있는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4월 국회에서 클린디젤차를 친환경 자동차에 포함시킨 것이다. 디젤이 경제성뿐만 아니라 환경성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정부는 최근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4%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CO₂배출이 적고 연비가 좋은 디젤차의 보급 확대가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에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다. '디젤=공해 주범'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가장 합리적인 대안인 디젤 보급에 주력하는 것이 녹색성장에 이르는 첩경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