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美 소비자지수 개선 기대…부동산지표도 긍정적
입력
수정
연말 소강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뉴욕증시 투자자들의 관심은 소매 판매 실적에 쏠릴 것으로 보인다. 추수감사절부터 크리스마스 연휴까지 이어지는 세일 시즌 판매 실적을 통해 미국인들의 소비심리 회복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서다. 소비는 미국 경제 성장의 70%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내년 미국의 경기 회복 강도를 가늠해볼 수 있다.
오는 23일 나오는 11월 소비지출은 전달에 비해 소폭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25일 발표되는 12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도 전달보다 개선됐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지난 주말 미 북동부 지역 폭설로 미국인들이 외출을 꺼리면서 크리스마스 대목 경기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고용시장이 안정되면서 소비가 점차 살아날 것이란 기대에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소매 판매와 함께 22일에는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확정치가 발표된다. 미 상무부는 두 달 전 3분기 GDP 증가율 예비치를 연 3.5%로 발표했다가 이를 2.8%로 낮췄다. 월가에서는 이번에 발표되는 확정치는 수정치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소비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동산 지표도 잇따라 나온다. 22일 전미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발표하는 11월 기존주택판매는 연율로 625만~628만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월보다 2.5~2.9% 증가한 것이다. 다음 날 미 상무부가 발표하는 11월 신규주택판매는 전달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사상 최저 수준의 모기지(주택 담보대출) 금리에 힘입어 주택시장에서 회복 신호가 나오면 내년 미국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확산될 수 있다. 경제 체질이 개선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조만간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면 미 달러 가치 역시 상승세를 보일 수 있다.
이런 선순환이 이뤄진다면 내년 초 뉴욕증시의 분위기는 밝아질 수 있다. IHS글로벌인사이트의 브라이언 배튜 투자전략가는 "이번 주 경제 지표들은 대체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건강보험 개혁법안 상원 처리를 앞두고 관련주들의 움직임도 관심거리다.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크리스마스 전에 법안을 통과시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제유가 움직임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22일 앙골라의 수도 르완다에서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총회에서는 OPEC 생산량을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란,이라크 간 국경 마찰은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에는 S&P500 종목 중 식품가공업체 콘 아그라푸드,전자부품업체 자빌 서킷,소매점인 월그린,메모리칩 생산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6개사가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