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빛바랜 '1월 효과'…대응전략은?

1월 마지막 주식시장 역시 깊은 조정 흐름을 보이고 있다.

29일 오전 10시18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30.83포인트 내린 1611.60을 기록 중이다. 연초 주식시장의 장밋빛 전망은 중국의 긴축 전환과 미국의 은행규제안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축소 우려로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코스피지수가 지난 21일 1722.01을 기록하며 전고점을 경신한지 불과 엿새만에 110포인트 가까이 빠지며 바닥을 가늠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연초 장세가 한해 주식시장 전체의 축소판이라고 한다면 앞으로 행보도 가시밭 길이 아니라고 보장을 할 수 없게 됐다. 이런 변동성 장세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전문가들은 단기 유동성이 몰렸던 종목을 우선적으로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곽병열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전날 국정연설에서 금융개혁 의사를 확고히 했고 이번 다보스포럼에서 오바마 금융개혁에 대한 유럽의 지지 움직이 있어 이 문제가 글로벌 이슈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면서 "지금과 같은 위기 상황이라면 한국 증시의 주가수익비율(PER) 9배 수준인 1550선까지는 추가로 조정이 이뤄질수 있다"고 말했다.

곽 연구원은 "지난해부터 단기 유동성이 집중된 자동차와 반도체, 원전 관련주들이 가격조정의 직격탄을 제일 먼저 맞을 수 있는 만큼 비중을 줄여야 한다"면서 "이제는 밸류에이션(가치 대비 주가)을 기준으로 종목을 선정하되 경기방어적 성격을 지닌 통신이나 유통 관련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종목별 선별 대응의 목소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지형 한양증권 애널리스트는 "G2(미국, 중국)이슈는 글로벌 유동성 위축과 긴밀한 사안으로 향후 대대외 경제지표 개선 등 펀더멘탈 요인을 통해 수그러들 순 있어도 소멸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이 직전 일주일 사이 1조원 순매도를 보였고, 특히 지난 주말 대규모 선물매도 이후 환매수가 3분의 1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하락 베팅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그는 "국내 경제 펀더멘탈이 견조하고, MSCI 선진지수 편입이슈와 10배를 맴도는 밸루에이션 등을 고려할 때 외국인의 변심은 상상하기 어렵다"면서도 "단기이슈에 민감한 헤지펀드는 예외적일 수 있어 종목별 선별 대응을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유동성 축소 국면에서 중소형주와 코스닥 종목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김중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유동성 축소와 위험자산 선호도 하락에 따른 1차적인 피해는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나 코스닥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외부변수의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펀더멘털이 취약한 개별 종목들이 외국인이나 기관의 우선적인 비중축소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최근 코스닥시장에서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기관의 매도세는 코스닥 종목들의 조정폭 확대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금융산업 개혁의지로 향후 글로벌 유동성의 직간접적인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다만 국내 증시에서 25%의 시가총액 비중을 차지하는 정보기술(IT)주들의 펀더멘털 모멘텀이 상반기에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 외국인들이 공감대의 끈을 놓지 않는다면 그 충격도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당분간 시장이 지지력 검증을 거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동성과 주변 불확실성 리스크 관리를 병행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중소형주의 비중을 줄이고 관심 대상을 IT 등 대형수출주 위주로 압축시킬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

증시 비관론자들은 작년 말까지 증시 활황세를 틈타 거의 모두가 낙관론으로 전향했다. 이 때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당시 몇 안되는 신중론자들의 주장은 '아무리 노력해도 국내 증시가 오를만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아울러 '버블'에 대한 경계도 꾸준히 제기했다.

문제는 현재까지도 이들 신중론자들이 상승의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는데 있다. 다만 상승의 실마리를 찾기위해서는 중국이 금리를 인상하고 미국이 금융규제를 마무리하는 등 불확실성 요인이 먼저 제거돼야 한다고 주장한다.그렇지 않다면 당분간 조정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때라는 얘기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