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르네상스' 인력난에 삐걱

원전 개발 등 필요 고급인력
계약직 등으로 제때 공급안돼
"사람 없어 포기할지도…" 우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중소형 스마트 원전 개발에 필요한 석 · 박사급 연구원 86명을 뽑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두 차례 채용공고를 냈지만 이제껏 69명밖에 뽑지 못했다. 선발대상이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이어서 고급 인력이 기피한 결과다. 정부에 '정규직 정원을 20명 더 늘려 달라'고 건의했지만 공기업 선진화 정책으로 정원 확대는 쉽지 않다. 연구원 관계자는 "내년 말 개발 완료가 목표라서 시간에 쫓기는데 제때 인력 확충이 안 되고 있다"며 아쉬워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올해 말 가동 예정인 신고리 1,2호기.막바지 건설과 시운전에 590여명이 필요하지만 현재 투입인원은 정원의 78%인 460여명에 불과하다. 한수원은 부족한 인원을 메우기 위해 올 상반기 중 신입사원 230명을 채용하기로 했지만 내부에선 "이미 적정인력 투입 시점이 지났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복잡한 원전의 특성상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최소 1년 정도 걸린다는 점에서다. 인력난이 '원전 르네상스'의 최대 걸림돌로 떠올랐다. 지난해 UAE(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출을 계기로 '원전 붐'이 일고 있지만 인력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20기,건설 중이거나 건설계획이 확정된 원전은 8기다. 여기에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에 11기의 원전을 추가로 짓고,해외에 80기의 원전을 수출할 계획이다.

하지만 인력 공급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원자력학회가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 보고서를 보면 국내 원자력 인력 수요는 2030년 9만9000여명으로 현재 원자력 산업종사자(4만3800명)의 두 배가 넘는다. 특히 연구개발 분야의 신규 인력 수요는 매년 큰 폭으로 늘어 2020년까지 1439명 더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국내 대학 중 원자력 석 · 박사 과정이 있는 곳은 서울대 KAIST 한양대 경희대 조선대 제주대 등 6개뿐이고,여기서 배출되는 석 · 박사는 한 해 76명뿐이다. 10년 후면 인력난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해외에서 원전을 수주해도 '사람이 없어 포기해야 할지 모른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연구인력의 고령화도 심각한 문제다. 전문가들은 주요 원자력 연구기관 종사자 대부분이 40~50대여서 5~6년만 지나면 대규모 정년퇴직으로 인력 공백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다 국내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까지 우려되고 있다.

박홍준 한국연구재단 원자력기획 팀장은 "원자력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은 고급 인력 중의 고급 인력인 데다 대학졸업자를 곧바로 쓸 수 없는 경우가 많다"며 "석 · 박사 과정을 대폭 늘리고 핵심 인력에 대해서는 파격적인 대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