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카페] 전교생에 무상급식 한다는데 '식단의 質' 유지될까
입력
수정
경기도 성남시 소재 K초등학교는 최근 학부모들로부터 "그냥 원래대로 급식비를 낼테니 급식 수준을 종전처럼 유지해달라"는 항의 전화를 여러 차례 받았다. 성남시가 오는 3월부터 지역 내 모든 초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실시키로 하면서 급식비 상한선을 한 끼 2350원으로 확정함에 따라 K초등학교의 경우 기존 2530원보다 180원이 내렸지만 이 때문에 급식의 질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학부모들이 항의를 한 것.학부모들은 "급식비를 올려서라도 식단의 질을 높여야 할 상황인데 무상급식으로 오히려 급식비가 깎여 제대로 된 급식이 이뤄질지 걱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따라 K초등학교는 최근 학교운영위원회를 열어 급식 수준을 종전과 같이 유지하는 방안으로 한 끼에 180원씩 발생하는 차액을 학부모들이 부담키로 결정했다.
'6 · 2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당과 일부 출마자들이 초등학교 무상급식 공약을 내세우자 일선 학교에서는 "현실을 모르는 주장"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현재 가정형편에 따라 급식을 지원해주는 것이 '창피주기 · 낙인찍기 복지'라는 주장에는 모두 고개를 가로 저었다. 서울 방배동 E초등학교 관계자는 "급식 수혜 학생이 누군지는 담임교사를 제외하곤 아무도 모른다"며 "예전처럼 급식 지원 신청서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각 학생의 집안 형편을 잘 알고 있는 담임이 학생의 학부모와 직접 연락해 급식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학생 자신도 지원받고 있는지를 모른다"고 말했다. 서울 정릉동 C초등학교 관계자도 "학년이 바뀔 때마다 이전 담임이 새 담임에게 학생의 형편 등을 알려줘 자동으로 급식 지원을 받게 한다"고 설명했다. 전 학년 무상급식 실시가 교육 예산의 효율적 운영에도 장애가 될 것이란 게 학교 안팎의 목소리다. 전문가들은 초 · 중학생 전 학년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하려면 경기도의 경우 6000여억원,서울은 4000여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급식시설 설치 등에 들어가는 부대경비는 별도다. 전체 예산 가운데 70~80%를 교사인건비 등 고정 경비로 지출하고 있는 교육청 입장에선 나머지 예산 가운데 태반을 무상급식에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복지정책은 필요한 사람에게 혜택이 주어져야 하고,그래야만 받는 사람도 고마움을 느낀다"며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가정의 학생들에게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것보다는 우수교사 양성 및 기자재와 시설 투자 등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6 · 2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당과 일부 출마자들이 초등학교 무상급식 공약을 내세우자 일선 학교에서는 "현실을 모르는 주장"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현재 가정형편에 따라 급식을 지원해주는 것이 '창피주기 · 낙인찍기 복지'라는 주장에는 모두 고개를 가로 저었다. 서울 방배동 E초등학교 관계자는 "급식 수혜 학생이 누군지는 담임교사를 제외하곤 아무도 모른다"며 "예전처럼 급식 지원 신청서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각 학생의 집안 형편을 잘 알고 있는 담임이 학생의 학부모와 직접 연락해 급식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학생 자신도 지원받고 있는지를 모른다"고 말했다. 서울 정릉동 C초등학교 관계자도 "학년이 바뀔 때마다 이전 담임이 새 담임에게 학생의 형편 등을 알려줘 자동으로 급식 지원을 받게 한다"고 설명했다. 전 학년 무상급식 실시가 교육 예산의 효율적 운영에도 장애가 될 것이란 게 학교 안팎의 목소리다. 전문가들은 초 · 중학생 전 학년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하려면 경기도의 경우 6000여억원,서울은 4000여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급식시설 설치 등에 들어가는 부대경비는 별도다. 전체 예산 가운데 70~80%를 교사인건비 등 고정 경비로 지출하고 있는 교육청 입장에선 나머지 예산 가운데 태반을 무상급식에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복지정책은 필요한 사람에게 혜택이 주어져야 하고,그래야만 받는 사람도 고마움을 느낀다"며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가정의 학생들에게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것보다는 우수교사 양성 및 기자재와 시설 투자 등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