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타임즈의 확대경] 클래식카 속에 담긴 숨은 가치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클래식카에 대한 관심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특히 자동차의 선진국으로 불리는 미국과 유럽,일본 등은 클래식카를 중요한 문화적 유물로 여겨 국가적인 관리를 하기도 한다. 조선 초기 고종 황제가 사용했던 캐딜락을 최근에야 비로소 문화재로 지정했던 우리와는 차원이 달라도 한참 다르다. 이런 이유로 유럽이나 미국,일본에선 도시마다 클래식카 축제가 열린다. 해마다 열리는 독일의 올드타이머 그랑프리,미국의 페블비치 콩쿠르,일본의 도쿄 클래식카 콩쿠르가 대표적인 클래식카 축제다. 이외에 프랑스와 이탈리아도 클래식카 분야에선 당당히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흔히 클래식카는 '오래된 자동차'로 규정된다. 하지만 오래됐다고 모두 클래식카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클래식카 문화에 앞서 있는 독일의 경우 '올드타이머(old timer)'로 클래식카를 부른다. 시대적 배경을 기준으로 A에서부터 G까지 7단계로 구분한다. 클래식A는 자동차가 발명된 초창기부터 1904년 말까지 생산한 차종이다. 자동차 조상인 셈이어서 다른 말로 '엔시스터(Ancestor)'라 부르기도 한다.

클래식B는 1905년부터 1918년까지 생산된 차다. 이 시기 자동차는 대부분 왕족이나 귀족이 보유한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영국은 '에드워드디언(Edwardian)', 독일은 '카이저시대(Kaiserzeit)'로 부르지만 정식 명칭은 '베테랑(Veteran)'이다. 배기량도 10ℓ 혹은 20ℓ로 커서 가격은 고사하고 귀족이 아니면 엄청난 연료비를 감당하기조차 어려웠다.

클래식C는 1919년에서 1930년까지 생산한 차종을 나타내며,'빈티지(Vintage)'로 칭한다. 클래식D는 포스트 빈티지로 1931년부터 세계 제2차 대전이 끝나던 해인 1945년까지 나온 차종이다. 전쟁 중인 탓에 민간 자동차 공급과 수요는 없었던 반면 전쟁용 자동차는 단시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낸 시기이기도 하다.

1946년부터 1960년까지 생산한 클래식E는 전후세대로 불린다. 1961년부터 1970년까지 나온 클래식F와 더불어 비교적 젊은 클래식카에 포함된다. 그러나 1971년부터 1980년까지 생산된 클래식G에 비하면 역시 고령(?)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클래식카는 정식 운행이 가능하다. 독일의 경우 자동차 번호판 다음에 'H'가 있으면 1969년 7월 이전 생산한 차종이거나 적어도 30년 이상 된 올드타이머로 등록된 차를 가르킨다. 등록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른 말로 거래가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특히 클래식카는 문화적,역사적 가치에 따라 천차만별의 가격이 매겨지는데 오래된 차라도 복원 상태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 몇 대 남지 않은 희귀성까지 갖추면 부르는 게 값이 된다.

실제 메르세데스 벤츠 복원으로 유명한 독일 킨레자동차의 경우 복원 정도에 따라 값을 책정하기도 한다. 킨레자동차는 삼성화재가 경기도 용인에 건립해 운영하는 '교통박물관'에 클래식카를 공급해 주기도 했고,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웅장하게 자리잡은 벤츠박물관의 여러 차종을 복원한 곳이기도 하다. 킨레자동차에서 3년 전 약 3억원에 판매했던 1954년형 메르세데스 벤츠 300SL의 경우 3년이 지난 지금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이런 이유로 때로는 클래식카가 투자 대상이 되기도 한다. 중동 부유층이 클래식카를 유가증권처럼 빚을 갚는 데 사용하는 일만 보아도 투자 대상으로서 클래식카의 가치는 끝이 없음을 짐작할 수 있다.

권용주 오토타임즈 기자 soo4195@autotimes.co.kr